법성포업체들 디자인 등 통일… 생산자이력 담긴 전자칩 내장
‘짝퉁 누명’에 시달려 온 영광굴비가 옛 명성을 되찾는다.29일 영광굴비 특품사업단에 따르면 진품 굴비를 구별할 수 있는 각종 안전 장치를 마련,11월부터 이를 선보인다. 굴비사업단은 주 산지인 전남 영광군 법성포 일대의 굴비 가공 업체들이 모두 똑같은 디자인과 포장을 사용토록 했다.
사업단은 또 생산자 이력제 시스템을 도입해 모든 제품 포장에 생산 시기, 지역, 업주를 확인할 수 있는 전자칩을 내장할 계획이다.
굴비를 엮는 끈과 상자의 규격, 모양도 하나로 통일된다. 이를 위해 사업단의 CI(Corporate Identity)와 전남도 인증마크,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항균 얼음팩 등도 새롭게 개발했다. 여기에 4∼5개로 갈라져 있던 생산자 단체를 최근 사업단으로 통합했다.
앞으로 사업단이 430여개 회원 업체를 상대로 ‘정품 유지’를 위한 자체 단속도 편다. 소금으로 염장(鹽醬)하는 정도를 3단계로 나눈 주문 생산 방식도 도입한다.
사업단의 이같은 노력은 중국산 등 가짜 굴비 논란으로 판매가 급격히 줄고,‘영광굴비 명성’ 퇴색에 따른 고육지책으로 보인다. 실제로 그동안 일부 수입업자들이 중국산 조기를 들여온 뒤 이를 법성포 지역 업체에 위탁해 가공하고, 기준에 못미치는 상품을 ‘진품’으로 둔갑시켜 팔아오기도 했다.
사업단은 앞으로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조기와 가공방식 등을 엄격히 규제하기로 했다. 적발된 업체는 사업단 방출은 물론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 대상에서까지 제외할 방침이다. 오진근 사업단장은 “명절만 되면 수사기관이 발표하는 ‘가짜 영광굴비’ 사건으로 지역 업체들이 엄청난 피해를 입었다.”며 “신뢰 회복을 위해 자체 감시시스템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영광에서 생산되는 굴비는 연간 1만900여t으로 매출액은 3500여억원에 이른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
2008-9-30 0:0: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