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찾기 프로그램 참가경쟁 치열
송파구는 다문화가정의 주부를 위해 25일부터 한달간 서울 주요 지역의 지리와 대중교통 이용방법 등을 익힐 수 있도록 ‘홀로 길 찾기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지방자치단체가 다문화가정 여성들에게 이런 교육을 실시하는 것은 처음이다.낯선 땅으로 시집 와서 모든 게 익숙하지 않은 외국인 여성으로서는 반갑기 그지 없는 일이다.
그만큼 관심도 많았다.참가 신청자가 예상보다 많아 우선 입국 1년 미만의 다문화가정 여성 25명만 1차 교육대상으로 선발되는 ‘행운’을 안았다.이들은 주변 지리에 밝은 송파구새마을부녀회 회원과 일대일 짝을 맺어 길 찾기 방법을 배운다.수도권 지도와 지하철 노선도 및 버스운영체계 등을 활용한 대중교통 이용교육도 받는다.이어 생활필수품 사오기,재래시장·할인매장에서 장보기,주민센터에서 가족기록부 발급받기,자녀와 어린이공원 다녀오기 등 팀별로 주어진 5~7개 과제를 차질없이 수행해야 한다.
과제 수행방법은 2~3차례 환승하는 1시간 이내 거리의 공연장,관공서,시장 등 찾아야 할 목표 지점으로 정해 다문화가정 여성이 스스로 찾아가도록 한다.교육자는 돌발 상황을 대비해 일정 간격을 두고 동행하는 식이다.
길 찾기 교육이 끝나면 새마을부녀회원들과 ‘홀로 길 찾기 페스티벌 및 일촌맺기 결연식’도 갖는다.팀별로 수행한 과제를 담은 영상물을 상영하고,그동안 과제수행에 따른 자주·신속·정확성 등을 평가해 시상식도 갖는다.
●원어민 강사로 나선 결혼이민여성
이에 앞서 송파구는 다문화가정 여성을 주민센터의 원어민 강사로 육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 한달간의 교육을 끝내고 24일 제1회 원어민 강사 수료식을 가졌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모두 12명의 주민센터 원어민 강사가 탄생했다.‘결혼이민자’에서 ‘원어민 강사’로 거듭난 셈이다.판초 리메디오스 아카윌리(36),하이즐 록산 로렌조(35·이상 필리핀), 요코야마 미카(40·일본) 등 필리핀·중국·일본·미얀마·몽골 등지에서 온 12명의 여성이 그 주인공이다.이들은 지난달 6일부터 원어민 강사 육성 프로그램에 선발돼 최근 교수법 교육을 받았다.
이들에 대한 주민들의 호응도 높았다.수료식이 끝나기도 전에 잠실4동·가락본동·가락1동 주민센터의 요청으로 5명의 다문화가정 여성이 원어민 강사로 파견될 만큼 큰 인기를 끌고 있다.구는 주민들의 호응에 힘입어 조만간 2차 교육 대상을 모집할 계획이다.
전광삼기자 hisam@seoul.co.kr
2008-11-25 0:0:0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