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다문화가정부부 평균 연령 女29·男41세
국제결혼을 한 다문화 가정 부부는 평균 12살의 나이 차가 나는 것으로 조사됐다.18일 전북발전연구원이 최근 도내 결혼이민자 26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이주여성의 평균 연령은 29세, 남편은 41세로 나이 차가 ‘띠동갑’인 12살에 달했다.
국적별 평균 연령은 일본이 평균 38세로 가장 많았고 필리핀이 32세, 베트남과 캄보디아가 각각 25세였다. 부부간 연령 차는 베트남 여성이 평균 16세로 가장 컸고 캄보디아 13세, 필리핀 10세, 중국 9세, 일본 4세 순이었다. 평균 학력은 고졸이 40%로 가장 많았고 중졸 30%, 전문대 이상 21%, 초졸 이하가 9% 등이었다. 남편의 학력도 고졸이 56%로 가장 많았고 대졸 이상 20%, 중졸 19.6%, 초졸 이하 4% 등이었다.
특히 일본 여성 61.5%와 필리핀 여성 60.6%는 대졸 이상으로 학력이 높았으나 베트남 여성의 65.3%는 중졸 이하였다. 부부간 학력 차는 필리핀 여성과 결혼한 경우가 가장 컸다.
이주여성 남편의 직업은 농·어업이 28.7%로 가장 많았고 생산직 19.9%, 기타 18%, 자영업 11.9% 순이었다. 무직도 7.3%였다. 이들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44만원으로 국내 평균 가구소득(2008년 4·4분기 기준) 346만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다문화 가정의 빈곤 정도가 심각한 것으로 분석됐다.
전북발전연구원 조경욱 여성정책팀장은 “결혼 이주여성의 특성을 파악해 구체적으로 지원정책을 수립해야 한다.”면서 “이주여성이 정착 과정에서 가장 부담스러워하는 자녀 양육이나 교육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국가적 차원에서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전주 임송학기자 shlim@seoul.co.kr
2009-6-19 0:0: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