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교육위원회 정만진 위원은 20일 시교육청이 제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1월부터 올 8월까지 대구 205개 초·중학교 보건실 리모델링 사업 중 입찰로 사업자를 선정한 곳은 2%인 4개교에 지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공사비로 보면 전체 41억원의 리모델링 사업 중 98%에 해당하는 40억 2000만원 규모가 수의계약으로 이뤄진 것이다.
같은 기간 실시된 64개 초·중학교 도서실 리모델링 사업 역시 입찰로 공사 업체가 결정된 학교는 13%인 8곳뿐이었다. 전체 공사금액 33억여원 가운데 87%인 29억원 규모의 공사가 수의계약으로 이뤄졌다. 이 공사는 학교마다 5000만원이 넘는 공사비가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보건실과 도서실 리모델링 공사비를 합하면 총액 74억원의 공사 중 93.5%인 69억 2000만원이 수의계약으로 이뤄졌다. 이 공사를 한 269개 학교 중 입찰을 실시한 학교는 4%인 12개교에 그쳤으며 96%인 257곳은 수의 계약으로 업자를 선정했다.
정 위원은 “수의계약을 많이 하면 어느 업체를 결정할 것인가를 인위적으로 판단하게 된다.”며 “시교육청이 수의계약을 부추기고 있지는 않나 하는 의심이 든다.”고 지적했다.
한편 최근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권영진(한나라당) 의원이 밝힌 국민권익위원회의 ‘2008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측정결과’에 따르면 16개 시·도 교육청의 종합청렴도 평가점수는 평균 7.45점(10점 만점)으로 중앙행정기관(8.39점), 광역시·도(8.51점), 공직유관단체(8.78점) 등 평가대상 공공기관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특히 대구시 교육청의 청렴도 지수는 7.18점으로 14위에 그쳤다.
대구 한찬규기자 cghan@seoul.co.kr
2009-10-21 12:0: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