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비전 후원금 4년간 3배↑
대한적십자사는 후원 회원이 줄고 있는 반면, 민간 구호단체들은 다양한 ‘후원 마케팅’을 동원해 비약적으로 성장하는 추세다.대표적인 성공 케이스인 ‘월드비전’은 2005년 후원금이 298억원이었으나 2009년에는 878억원로 늘었다. 4년 새 3배 가까이 증가한 것이다. 2007년 24만명이던 후원자도 지난해 36만명으로 늘었다. 자신이 후원하고 있는 외국의 가난한 어린이와 편지, 사진을 주고받는 등 보람을 체감할 수 있도록 한 후원방식이 호응을 받는 요인이다. 여행가 한비야씨를 앞세운 홍보 전략도 주효했다.
대한적십자사의 2000년 회원수는 724만명이었으나 2002년 683만명, 2004년 584만명 등으로 감소 추세다. 지난해에는 505만명에 그쳤다. 9년 새 후원회원이 30%가량 준 셈이다. 모금 실적도 수년째 제자리걸음이다. 특히 2001년부터 6년 연속 연초에 설정한 모금 목표액을 달성하지 못하기도 했다. 2005년 410억원이던 모금액은 2009년에는 450억원으로 증가하는 데 그쳤다.
하지만 적십자사와 월드비전을 단순 비교하는 건 적절치 않다는 지적도 있다. 월드비전의 후원은 주로 아프리카 빈민 구호에 집중돼 있어 후원자들에게 직접적이고 단순한 후원 동기를 제공한다. 반면 적십자사는 구호 분야가 방대하고 빛이 안 나는 사업이 많아 후원자들에게 강한 인상을 심어주기 어렵다는 것이다.
김대중 정부 이후 10년간 대한적십자사의 대북 지원 사업에 불만을 품은 보수층이 후원을 끊으면서 후원자 수가 감소했다는 관측이 일례로 제시된다. 또 아프리카라는 미지의 땅을 돕는 월드비전이 참신한 이미지를 풍기는 것과 달리 대한적십자사는 우리나라의 어려운 사람들을 돕는 기존 사업이라 신규 후원자들에게 상대적으로 매력이 떨어지는 측면도 없지 않다.
공적 기관의 특성상 민간단체처럼 적극적으로 ‘마케팅’을 펴기 어렵다는 점도 난제로 지적된다.
김정은기자 kimje@seoul.co.kr
2010-01-11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