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안서에 따르면 포스코건설은 대구 삼덕동과 대흥동 일대 약 83만㎡에 2015년까지 돔구장을 비롯해 행정타운, 업무·주택·상업 시설 등을 지을 계획이다. 돔구장은 16만 6900여㎡에 연면적 10만 9000여㎡, 지상 6층(최고 68m) 크기이며 좌석은 2만 5000석 규모로 최대 3만 5000명까지 수용할 수 있다. 포스코건설은 사업비 충당을 위해 공동주택 용적률을 160%에서 200%로 상향조정하고 공동주택 적정 가구 수를 4230가구로 제안했다.
이와 함께 돔구장 공사비 부족분은 민간사업자에게 토지를 매각할 때 감정가로 공급해 충당하고 임대주택사업은 대구도시공사가 시행해줄 것을 요구했다. 사업 부지에 대규모 공동주택 개발이 어려우면 경제자유구역에 돔구장과 공동주택을 지을 수 있도록 위치 조정도 제시했다.
사업계획대로라면 돔구장은 대구시가 직접 운영해도 수익을 낼 수 있고 프로구단과 공동운영할 경우 개장연도에만 21억 9000여만원의 흑자를 낼 수 있다는 것이 포스코건설 측의 분석이다. 이에 대해 대구시는 난색을 나타냈다. 아파트 건립 가구 수가 너무 많다는 것이다. 미분양이 넘쳐 나는 상황에다 인근 경제자유구역에 2000여가구가 들어서는 것을 감안하면 제안 규모가 너무 크다는 이유다. 또 포스코건설 이외 다른 사업자도 돔구장 건설에 관심을 보이는 만큼 합리적인 방안을 내놓지 않으면 포스코건설만 고집하지 않는다는 것이 대구시의 방침이다.
정하진 체육진흥과장은 “적정 아파트 건립 규모로 2000가구 정도를 생각하고 있다.”며 “전문가의 의견을 받거나 위원회를 구성해 충분한 의견을 수렴한 뒤 좋은 방안으로 나가겠다.”고 밝혔다.
포스코건설은 지난해 10월 대구시와 돔구장 건설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대구와 함께 양해각서를 체결한 광주 돔구장은 지난 5일 사업 포기를 광주시에 통보했다. 포스코건설은 4000억원대의 막대한 투자에 따른 수익성 확보가 어려운 데다 시민단체 등의 반대여론도 만만치 않아 돔구장 건설 불참을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구 한찬규기자 cgha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