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성 장학회·수준별 야간수업…외지서 유학 오는 명문고 변신
‘농촌지역의 평범한 고등학교도 명문고가 될 수 있다.’기숙형 공립고등학교인 경남 함양고가 그 좋은 본보기로 꼽힌다. 함양고는 몇년전만 하더라도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평범한 시골학교였다. 지금은 외지에서 유학 오는 명문고로 변신했다. 학교와 지역사회가 좋은 학교를 만들자는데 뜻을 모아 발벗고 나선 결과다.
2008년 기숙형 공립학교로 선정된 함양고는 올해 전교생 436명 가운데 342명이 기숙사 생활을 하고 있다. 전국 기숙형 공립고 가운데서도 기숙사 입사율이 최고다.
함양고는 올해 졸업생 145명 가운데 서울대 1명을 비롯해 을지대 의대와 고려대, 성균관대에 각 2명 등 서울지역 대학에 모두 24명이 진학했다. 부산대에 4명, 교육대학 3명을 비롯해 132명이 4년제 대학에 갔다. 12명은 전문대로 진학했고 1명은 취업을 했다. 2005년부터 해마다 서울대 합격생을 배출했고 2008년에는 서울대에 4명을 진학시켰다.
이 학교가 명문고로 발전하게 된 것은 학교와 함양군, 지역주민이 “학교가 살아야 지역이 산다.”며 2002년 장학회를 결성해 전폭적인 지원을 시작하면서부터다. 장학회는 2002년 1550만원을 지원한 뒤로 2005년 8억 2500만원, 2006년 10억 1100만원을 지원했다. 장학회는 지난해까지 95억원의 장학금을 조성, 이중 35억 6700여만원을 함양고에 집중 지원했다.
학생들 수준에 맞는 맟춤형수업과장학 지원도 명문고로 발전하는 주춧돌이 됐다. 재학생기숙사비도 지원한다. 수업이 끝난 뒤 과목별로 최상위그룹을 위한 수월반과 상위그룹에 맞춘 심화반, 중하위 그룹을 위한보충반으로 나누어 야간수업을 한다. 인터넷 수업, 원어민 강사 수업, 원어민 원격화상강의, TEPS반, 논술반등다양한수업 과정도 운영한다. 성적 우수학생에게 한 해 모두 2억원의 장학금을 준다. 서울대에 합격하면 4년간 등록금을지원한다.
장학회의 지원과 학력향상 특별프로그램 운영으로 학력이 쑥쑥 올랐다. 명문고로 발돋움하면서 외지에서 유학오는 학생도 늘고있다. 올해 신입생 160명 가운데 함양군출신은129명이다.
나머지는 진주·산청·거제 ·부산 등에서 유학온 학생들이다. 유병주 교장은 “사교육을 대신하는 야간수업과 인성함양을 위한 동아리활동, 명상의시간운영 등 함양고만의 특색있는 교육을 통해 학생들에게 명품 교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2005년에는 교과부의 농·산·어촌 우수고로 뽑혀 16억3000만원을 지원받기도 했다.
함양고 기숙사는 성적우수학생 100명이 생활하는 우정학사와 남녀학생 각 120명이 생활하는 연암학사·고운학사 등 3개동이다. 함양의 옛 이름을 따 ‘다볕동네’라고 이름을붙였다.
함양 강원식기자 kws@seoul.co.kr
2010-03-23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