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지역은 거금도에서 가장 높은 적대봉(593m)과 이 봉우리에서 남동쪽으로 뻗은 능선의 안쪽에 있는 오천제 유역(상수원 보호구역)으로 연결되는 산림이다. 이 지역은 생태계 조사 결과 멸종위기 1급 동물인 참수리를 비롯, 흰꼬리수리, 검독수리, 구렁이와 2급인 팔색조, 말똥가리, 삼광조가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팔색조와 삼광조는 제주와 남해안에서도 보전상태가 매우 양호한 숲에서만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거금도 적대봉 일대의 생태환경적 가치가 크다고 환경부는 전했다.
또 참식나무·센달나무·동백나무·멀꿀 등 17종의 상록 활엽수가 분포하고 있으며, 적대봉의 좌우 능선을 따라 길게 분포된 소사나무 군락지의 경관 가치가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
환경부는 적대봉 일대에 생태숲, 자연휴양림을 조성하는 등 보전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한편 적대봉 일대가 보전지역으로 지정됨에 따라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관리되는 곳은 모두 39곳(398.14㎢)으로 늘었다.
유진상기자 jsr@seoul.co.kr
2011-01-07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