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교육청 학생수 기준 축소 탓…추진 4년간 정부 목표 절반 그쳐
교육과학기술부(교과부)가 추진 중인 농산어촌 소규모 학교의 통합작업이 지지부진한 것으로 감사결과 드러났다.감사원은 교과부, 전남·경북도 교육청 등을 대상으로 한 감사에서 농산어촌의 소규모 학교 통폐합사업이 효율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교과부에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고 22일 밝혔다.
통폐합 실적이 이처럼 저조한 것은 교과부가 학생 수 60명 이하의 학교를 우선 통폐합 대상으로 정한 채 각 시·도 교육감이 자체 추진토록 내버려뒀기 때문이라고 감사원은 지적했다.
이로 인해 각 시·도 교육청은 교원 정원의 감소 및 지역주민과의 마찰 등을 우려해 통폐합 기준을 과도하게 낮춰 대상을 축소하고 있었다고 감사원은 밝혔다.
도심지역 학교들이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등으로 학생 수를 늘리려는 노력을 펼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실제로 전남도교육청 등 5개 교육청에서는 통폐합 대상 학생 수 기준을 60명에서 50명으로 줄였고, 경북도교육청 등 8개 교육청에서는 인접 학교와의 거리 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일률적으로 1면(面) 1교를 유지토록 허용했다.
또 충북도교육청 등 5개 교육청에서는 지역주민의 동의를 50~75% 받도록 하는 방법 등으로 통폐합 대상학교 수를 축소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동구기자 yidonggu@seoul.co.kr
2011-02-23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