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초 人事 10여개 구서 국장급 5명·과장급 4명 탄생
기초지방자치단체에 ‘공보 전성시대’가 열렸다.5일 각 자치구에 따르면 이달 초 인사를 단행한 10여개 자치구 중 공보담당 과장 5명이 국장(서기관·4급)에 올랐고, 공보팀장 4명도 과장(사무관·5급)으로 승진했다. 구청 국장은 구청장과 부구청장을 빼고 일반직 공무원들이 올라갈 수 있는 가장 높은 자리로, 승진의 영예는 한해 3~4명에게만 돌아간다.
이전엔 총무·자치행정·기획예산과 등 주요 보직에서 도맡았지만, 주민을 주인으로 섬기겠다는 슬로건을 내걸고 출발한 민선5기 들어 홍보업무 비중이 높아지면서 승진 대열에 잇달아 합류하고 있다. “아무리 좋은 정책도 널리 알려 따르도록 하지 않으면 소용없다.”는 단체장들의 생각이 영향을 줬다.
국장으로 승진한 채관석(57) 송파구 전 공보과장과 장병수(57) 강북구 전 홍보담당관, 박기호(55) 광진구 전 기획공보과장, 김재홍(58) 서초구 전 홍보정책과장, 이용갑(57) 중구 전 관광공보과장 등은 공보 분야의 베테랑들이다.
송파구 채관석 건설교통국장은 1980년 강동구에서 공직을 시작해 송파구 재난관리과장, 도시디자인과장, 마천2동장 등을 거쳐 지난해부터 공보과장을 맡았다. 1995년부터 1997년까지 공보계장을 3년이나 지냈다.
강북구 장병수 건설교통국장은 1978년 서울시 공무원으로 임용돼 33년 만에 다섯 계단 뛰었다. 3년 8개월 동안 공보업무에 몸담았던 그는 “잠시도 긴장을 늦출 수 없어 그야말로 사생활이 없는 대표적인 과(課)가 아닌가 한다.”며 “긴급상황에서도 신속하게 대처하는 경험을 배운 만큼 구정활동을 하는 데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초구 김재홍 기획경영국장은 1977년 강남구에서 공직을 시작해 서초구 기획예산과장, 전산과장, 여성가족과장 등을 거쳤다. 중구 이용갑 복지환경국장은 1978년 동작구 공무원으로 첫발을 떼 1989년부터 신당4동장과 주민생활지원과장 등을 지냈다.
광진구 박기호 기획경제국장은 1975년 서울시 공무원으로 들어와 광진구 보건행정과장, 지역경제과장 등을 거쳐 사무관 승진 9년 만에 한 계단 올랐다. 그는 “3년 동안 일한 홍보과는 주민이 원하는 게 무엇이고, 필요한 게 무엇인가를 늘 고민하는 힘든 자리”라고 말했다.
과장급으로 승진한 사례는 종로구 임석호(53)·성북구 이상규(57)·양천구 허성일(54)·영등포구 서만원(52) 팀장 등으로, 이들 역시 수년간 공보업무에 몸을 담았다. 공보팀장 자리는 언론과 최일선에서 직접 상대해야 하기 때문에 1년 내내 휴일도 없이 새벽부터 밤늦게까지 근무해 기피 부서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최근 승진을 거듭한 양천구 허성일 홍보정책과장은 1981년 철도청 공무원으로 시작해 3년 뒤 서울시로 옮겨 중구, 성북구, 서울시의회 공보주임을 거쳤다. 업무를 위해 대학원에서 늦깎이 공부를 하는 등 ‘극렬 홍보맨’으로 평가받고 있다.
영등포 서만원 도시디자인과장은 1987년 서울시 공무원으로 공직에 들어와 기획·공보·감사주임 등을 맡았고, 종로구 임석호 종로 5·6가 동장은 2009년부터 공보팀장을 맡아 2년 3개월여 만에 승진발령장을 받았다. 성북구 이상규 팀장은 1984년 공채로 성북구에 들어와 총무팀장과 공보팀장 등을 맡았다. 공보 업무만 7년 넘게 몸담은 베테랑이다. 오는 9월 인사에서 과장급 보직을 받을 예정이다.
조현석·강동삼기자 hyun68@seoul.co.kr
2011-07-06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