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통땐 오프라인 자동 전환
지난해 11월 7일 1시간 넘게 서울시내 택시카드 결제 시스템이 장애를 일으키면서 많은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서울시는 이 같은 ‘먹통 대란’으로 인한 시민 불편이 재발하지 않도록 ‘택시요금 온·오프 자동결제시스템’을 구축해 2일부터 서비스를 시작했다. 온라인 결제가 불가능하게 되면 카드결제단말기에 내장된 오프라인 자체 승인 시스템으로 자동 전환돼 언제, 어디서나 결제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기존의 택시요금 카드결제기는 통신이 원활하지 않은 지역에 가거나 통신·카드사에 시스템 장애가 발생하면 신용카드사의 승인을 받지 못해 결제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했다.
KB·삼성·수협카드는 이날부터 이 시스템을 적용하며 이달 안에 모든 카드로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시는 또 1만원 미만 소액 요금은 서명 없이 결제할 수 있도록 했다. 택시기사는 1만원 미만의 소액이라도 나중에 주운 카드나 불법카드로 결제한 게 밝혀지면 그 금액을 본인이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꼭 서명을 받으려 했으나 1만원 미만 소액 카드결제로 발생하는 문제는 카드사가 책임을 지게 된다.
시는 소액요금 카드 결제 증가에 따른 택시업자의 수수료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지난해부터 6000원 이하 카드결제 수수료를 전액 지원해 왔다. 내년에는 1만원 이하 요금의 수수료까지 확대 지원할 계획이다.
신용카드 결제를 거부하는 택시가 있으면 차량번호, 탑승시간 등을 ‘120다산콜센터’로 신고하면 된다.
천정욱 시 도시교통본부 택시물류과장은 “카드로 요금을 내는 데 불편하거나 부당한 일을 겪지 않도록 시스템과 결제방법을 개선하고 수수료 지원으로 기사들의 부담도 덜었다.”며 ”택시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계속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
2012-04-03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