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운영 자제” 요청… 식당가, 손님 늘어 반색
“건설현장 식당(함바집) 운영을 자제해 주세요.”요즘 광주시내 대형 관급공사와 아파트건설 현장에서 함바집을 운영하지 않으면서 주변 상인들이 반색하고 있다.
|
무등경기장 야구장 신축 현장 부근인 광주 북구 임동 B음식점은 최근 주 메뉴를 삼겹살에서 백반으로 바꿨다. 단체로 밀려드는 현장 근로자들의 점심을 준비하기 위해서다.
시공사인 현대건설이 지난해 말 착공한 야구장 현장에 함바집을 따로 운영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회사 현장 소장인 김광재(54)씨는 “현재 주차장 공사에 투입된 근로자는 하루 100~120명에 이른다.”며 “이들이 주변 식당가에서 끼니를 해결하면서 주변 상인들도 반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대건설이 최근 착공한 서구 화정주공아파트 유니버시아드 선수촌 재개발 현장에도 함바집이 없다. 광주시가 주변 상인들의 의견을 수렴해 회사 측에 함바집 운영을 자제해 줄 것을 요청했고, 회사가 이를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광주 동구 옛 전남도청 부지에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을 신축하고 있는 대림건설도 공사가 시작된 2008년부터 현장 식당을 운영하지 않아 주변 식당이 활기를 띠고 있다.
강운태 광주시장은 16일 간부회의에서 “몇몇 현장에서 함바집을 운영하지 않으면서 인근 식당들의 영업이 잘되고 있다.“며 “앞으로 시작되는 건설 현장에도 이런 내용의 협조 공문을 보낼 것”을 주문했다.
●강제할 제도적 장치 없어
공사 감독권을 가지는 광주시의 이 같은 입장에 따라 상당수 건설업체가 함바집 운영에 대한 근본적인 검토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를 강제할 만한 제도적 장치가 없어 단순히 ‘협조’를 구하는 수준이다.
그동안 함바집 운영권은 황금알을 낳는 알짜배기 사업으로 알려져 브로커 등을 통한 금품로비, 건설업체의 탈세 등의 창구로 악용되어 사회적인 문제로 지적된 바 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
2012-07-17 1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