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民 “복합문화공간 만들려면 지하화 필수” 업체 “공사비 수천억 늘어… 지상화 불가피”
‘지상이냐, 지하냐.’, 원주∼강릉 복선전철의 종착역인 신강릉역을 지상에 설치하겠다는 계획이 제시되면서 지역사회의 반발이 거세다.12일 강원 강릉시에 따르면 원주~강릉 간 복선철도 환경영향평가 초안 설명회에서 설계업체 측이 신강릉역 건설과 관련, “역을 지하화하면 수천억원의 공사비가 더 들어 지상으로 계획하고 있다.”고 제시하면서 최명희 시장을 비롯해 시민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최 시장은 또 차량기지 입지로는 계획대로 농지 및 산지로 형성돼 있어 확장이 쉽고 계획 중인 동해선과 동해북부선 운행열차 수용이 편리한 구정면 금광리 일원으로 해 달라고 요청했다.
시의원들도 “강릉시내를 남북으로 관통해야 할 도로가 강릉소방서 방면 도심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먼 거리를 우회해야 하는 등 극심한 불편이 생기는 것도 강릉역사가 지상에 있기 때문”이라며 “강릉역의 지하화는 강릉시내 개발의 명운이 걸린 중차대한 문제”라고 강조했다. 강릉역사 주변지역 주민과 사회단체 등도 지하화 촉구를 위한 성명서와 진정서를 준비하는 등 대응 활동에 들어갔다.
앞서 한국철도시설공단은 “강릉역을 지하화하면 몇 천억원의 공사·운영비가 더 들고, 수송 기능적 측면에서도 문제가 있다.”며 지상 설치 계획을 밝혔다.
강릉 조한종기자 bell21@seoul.co.kr
2012-09-13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