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 본 ‘정책연구 입상 후보작’
지방공무원들의 정책 제안이 봇물 터지듯 쏟아졌다. 대포차 근절 방안, 생태관광 인증제 도입, 낙후 지역 경제활성화 방안, 악취 관리 방안 등 단순한 아이디어 수준을 뛰어넘어 행정에 접목할 수 있을 만한 것들이었다.하지만 막상 뚜껑을 열어 보니 행정, 복지, 관광, 세정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39편의 수준 높은 연구보고서가 제출됐고, 덕분에 교수, 연구원 등 지방행정 전문가들로 꾸려진 5명의 심사위원들은 즐거운 비명을 질러야 했다.
특히 이동규 창원시 세무과 6급 주무관이 내놓은 ‘대포차 근절 및 세수 증대를 위한 전략적 개선방법’을 보면 요즘 널리 쓰이는 QR코드를 부착한 뒤 행정안전부, 국토해양부, 경찰청 등이 대포차 표준통합 데이터베이스(DB)망을 공동 구축할 것을 제안해 눈길을 끌었다. 경남도청 전략산업과 강두순 주무관은 경남 지역 관광을 생태관광으로 질을 높여야 한다면서 ‘생태관광 인증제’를 도입하고 인증 대상별 인증지표 개발, 인증제도를 이끌고 나갈 인증조직, 인증기간, 비용, 인증수준 방안 등을 제시했다.
심사를 맡은 오은주 지방행정연구원 수석연구원은 “현장 실무자들이어서인지 주제 선정 등이 아주 잘돼 있고, 더욱 놀라운 건 연구자들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논문의 형식적 요건, 정책의 장단점, 대안의 방향을 이끌어 낼 때 학술적 분석 방법을 도입해서 잘했다는 점이다.”라고 말했다. 정종필 지방행정연수원 교수는 “요즘에는 공무원들 중 대학원을 나온 분들도 많아서인지 연구보고서 형식도 점점 나아지고 있다.”면서 “단순한 학술대회가 아니라 정책에 직접 반영할 수 있는 연구인지에 초점을 두고 심사했다.”고 말했다.
까다로운 1, 2차 심사를 통과한 6건의 보고서가 20일 오후 최종심을 앞두고 있다. 이날 경기 수원시 지방행정연수원에서 열리는 최종심은 프레젠테이션 형식이다. 100여명의 동료 지방공무원들과 심사위원들 앞에서 발표하고, 질의·응답을 거쳐 마지막 평가를 받는다. 보고서 내용의 창의성과 실용성, 효과성 등은 물론 당일 프레젠테이션에서 발표력, 청중 호응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받는다. 대상과 최우수상, 우수상 수상자를 1명씩 선정하고, 장려상 수상자 3명을 뽑는다.
김정삼 지방행정연수원장은 “지방공무원들이 자신들의 업무 역량을 마음껏 발휘하고 그 결과를 공유하는 소통의 장으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2-09-19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