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부모가 행복한 도시 원주… 아동보육 분야에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헬스케어·천연물·항체… K바이오헬스 메카 꿈꾸는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살기 좋은 도시 영월… 정책 다각화로 인구 감소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지자체 무관심에… 40개 시·군, K패스 ‘교통비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일본인 18%, 후쿠시마産 식품 구입 주저”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일본인 5∼6명 중 1명꼴로 후쿠시마(福島)산 식품 구매를 주저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일본 소비자청이 실시해 7일 공개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식품을 살 때 생산지에 신경이 쓰인다는 답변은 40.9%, 신경을 쓰지 않는다는 응답은 27.3%였다.

생산지를 신경 쓴다고 응답한 소비자는 그 이유로 품질(31.0%), 방사성 물질 함유 여부(24.2%), 신선도(18.7%), 가격(18.5) 등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식품의 구매를 망설이게 하는 원산지로는 후쿠시마현을 꼽은 소비자가 가장 많았다.

이들의 비율은 전체 설문 응답자의 17.9%였다.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확인되지 않는 수준의 저선량 방사선 물질에 대해 딱히 신경 쓰지 않는다는 응답자는 19.3%, 기준치 이하라도 발암 위험을 증가시키므로 수용할 수 없다는 답변은 18.9%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다른 발암 요인보다 위험이 낮고 현재 검사제도 아래에서 유통된다는 전제로 수용하겠다는 반응은 34.5%였다.

식품의 방사성 물질 관리에 관해서는 검사 제도의 존재 자체를 모른다는 응답이 26.1%, 기준치를 초과하면 유통이 제한된다는 것을 아는 소비자는 52.8%였다.

규제 기준이 충분히 엄격하다는 의견(15.4%) 보다 더 강화해야 한다(23.5%)는 의견이 우세했다.

조사는 올해 8월 24∼28일 20∼60대 남녀를 상대로 인터넷에서 시행됐으며 5천176명이 응답했다.

연합뉴스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