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는 2008년 전출 기업보다 전입 기업의 수가 많아진 이후 6년 연속 전입 기업이 증가한 것이다. 전입한 85개 기업은 제조업 67개사, 정보기술 관련 서비스업 14개사, 방송·통신·출판업 등 4개사로 제조업체가 다수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서부산권 국제물류·미음산업단지 53개사, 동부산권 명례·정관산업단지 12개사, 센텀지구 20개사 등으로 대부분 산업단지에 입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이 부산으로 이전하기 전 소재지는 경남 43개사, 수도권 16개사, 울산 8개사, 기타 18개사로 부산과 인접한 경남 및 울산 소재 기업이 대부분인 것으로 드러났다.
전입 기업은 지역 내 산업용지 매입(51만 9000㎡)과 공장 신축에 따른 대규모 설비 투자 등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됐다. 또 신규고용(2300여명) 창출로 지역 내 고용률 상승에도 적지 않은 도움이 되고 있다.
대표적 전입 기업으로는 지난해 1월 미음 LG CNS데이터센터에 입주한 수도권 인터넷 메신저회사인 K사, 충남 당진 소재 강관 제조업체로 미음산단 용지를 우선 분양받은 M사, 경기 시흥 소재 용접재료업체로 명례산단으로 본사와 공장을 이전하는 H사, 정관 코리산단에 공장 신축과 본사 이전을 준비하는 울산 소재 자동차부품업체인 D사 등이 꼽힌다.
전입 기업 6년 연속 증가는 2000년대 들어 시가 역점시책으로 추진한 산업단지 확충과 보조금 지원 등 ‘기업하기 좋은 도시 부산’을 위한 다양한 기업 유치활동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들 중 상당수는 용지난 등으로 부산을 떠났다가 회귀한 기업이었다.
이처럼 부산시가 적극적으로 산업단지 확충에 나섬에 따라 전출 기업이 크게 줄어드는 등 부산 기업의 역외 이전 방지 효과도 나타나고 있다. 시가 지속적으로 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있어 향후 전입 기업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정현민 부산시 경제산업본부장은 “전입 기업이 부산에 조기 정착하면 지역경제 활성화와 고용 창출에 이바지할 것”이라며 “앞으로는 고용 규모가 큰 강소기업과 도시형 지식서비스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 유치활동을 전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부산 김정한 기자 jhk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