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력·지력·태양광 등 에너지 활용
울릉도가 2020년까지 친환경 에너지 자립 섬으로 조성된다.경북도는 내년부터 6년간 총 3439억원을 투입하는 울릉도 친환경 에너지 자립 섬 조성 사업을 추진한다고 7일 밝혔다.
7일 서울 서초구 한전아트센터에서 울릉도 친환경 에너지 자립 섬 조성을 위한 협약식에 참가한 문재도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과 김관용 경북도지사, 박명재 새누리당 의원, 이희국 LG 사장 등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
이번 사업의 핵심은 연료전지와 풍력, 지열, 태양광 등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를 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현재 울릉도 주민 1만여명이 연간 소비하는 전력량은 1만㎾ 안팎으로 디젤과 수력발전에 의존한다. 울릉도에선 디젤 1만 8500㎾와 수력 700㎾ 등 연간 1만 9200㎾의 전기가 생산된다.
하지만 이 사업이 완료되면 화석연료를 대신해 연료전지 2만 3000㎾, 풍력 8000㎾, 지열 4000㎾, 태양광 1000㎾ 등으로 연간 3만 7000㎾를 생산한다.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와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설비는 관광자원으로도 활용된다. 태하항 인근엔 신재생 테마관광타운을, 저동엔 친환경 에너지타운을 조성해 녹색관광단지로 상품화한다.
도는 울릉도를 탄소 제로 섬으로 구축하면 에너지 절감, 생산 유발, 고용 창출, 100만 관광객 유치 등 1조 4000억원의 경제적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한다. 하지만 사업비의 70%를 민간자본에 의존할 계획이어서 자칫 사업 차질이 우려된다.
김동성 도 에너지산업과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울릉도를 세계 최초의 탄소 제로 친환경 에너지 자립 섬으로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울릉군은 2011년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국제녹색섬연합회 가입 조인식에 참석해 울릉도를 국제녹색섬연합회(ISLENET)에 가입시켰다. 이로써 울릉도는 국제녹색섬연합회로부터 섬 주민 공동체를 위한 지속 가능한 에너지와 에너지 효율 방안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기술 등을 지원받을 수 있게 됐다.
대구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2014-10-08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