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폐장치·음량조절 가이드라인… 국가기술표준원 새달 고시 예정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국가기술표준원은 13일 가전제품 제작 시 장애인과 고령자가 좀 더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국가표준(KS)을 다음달 고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고시 내용에는 우선 가전제품 개폐장치(문, 손잡이 등) 등을 설계할 때 장애별로 어떤 부분을 유념해야 하는지 등을 정의하게 된다. 예를 들어 시각장애인은 정해진 위치에 냉장고 손잡이가 달려 있지 않은 경우 문을 여닫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청각장애인은 TV의 음량조정 등 일반인이 단순하게 여기는 기능을 미세조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2008년 제정된 장애인차별금지법(제15조)은 모든 물품과 서비스에서 비장애인과 장애인에게 동등한 수준의 편익을 제공해야 한다고 정의한다. 하지만 실제 이 같은 규정이 지켜지는 것은 공공시설물접근(보도블록, 주차장), 전자정부 등 정보통신(웹, 모바일), 교육(점자책), 금융(현금자동인출기) 분야 등 일부에 불과하다. 최근 기술표준원은 이 같은 국제표준의 수립을 국제표준화기구(ISO)에 제안해 승인을 받았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를 포함해 미국, 독일, 일본 등 각국 전문가들은 앞으로 3년 동안 구체적인 국제표준을 만들 계획이다. 기술표준원 관계자는 “가전제품의 각종 입력장치 역시 장애인과 고령자도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만들 것”이라면서 “사회적 약자의 편의성을 높이려는 노력은 장애인 복지는 물론 해외시장에서 우리 제품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4-10-14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