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기원 ‘기록사랑 마을’로 지정… 국내 유일 ‘10월 유신탑’ 등 보존
일제강점기 일본이 군항도시로 조성했던 경남 창원시 진해구 중앙동 군항마을이 국가기록원으로부터 ‘기록사랑마을’로 지정됐다.기록사랑마을은 국민에게 기록관리의 중요성을 심어 주기 위해 마을 단위의 고유한 역사·문화가 담긴 기록물을 잘 보존하고 활용하는 마을을 지정한다. 2008년 강원 정선군 탄광 마을인 함백역 마을이 1호 마을로 지정된 뒤 군항마을이 7번째다.
진해 군항마을은 일본이 1912년 군항도시로 만들기 위해 북원·중원·남원 로터리를 만드는 등 일본에 의해 우리나라 최초의 방사형 계획도시로 조성된 곳이다. 많은 근현대문화유산이 보존돼 있다.
해방 뒤 러일전쟁 전승 기념탑을 헐어내고 그 자리에 세운 ‘제황산공원 진해탑’과 1912년 준공돼 2000년까지 운영됐던 ‘진해우체국’, 우리나라 최초로 1952년 세워진 ‘이충무공 동상’, 국내 유일하게 남아 있는 ‘10월 유신탑’ 등이 있다.
지역 역사·문화 자료와 기록을 보존·전시해 놓은 역사관도 2년 전 문을 열었다. 행정안전부(현 안전행정부) 희망마을 만들기 공모사업을 통해 진해구 중앙동에 있는 옛 노인정 건물을 리모델링해 2012년 11월 개관한 역사관은 기록사랑마을 지정에 따라 전시관으로 바뀐다.
창원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
2014-10-3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