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마을 전체 기지화 의도” 해군 “가족들 머물 집 필요”
“해군이 강정마을 전체를 군사기지화하려 하고 있다. 우리 동네에는 군인아파트도 안 된다.”(강정마을회)“현장에 상시 대기해야 하는 긴급 요원과 가족들이 머무를 관사를 지어야 한다.”(해군)
3일 서귀포시 등에 따르면 해군은 지난달 14일부터 강정동 해군기지 건설 현장 인근 강정마을에 연면적 6458㎡ 지상 4층 5개 동 72가구 규모의 군인 아파트 건립 공사에 착수했다. 하지만 강정마을 주민들이 군인아파트 공사장 입구를 차량으로 막아 버려 지난달 25일부터 터파기 공사가 중단된 상태다.
해군은 당초 내년 말 제주해군기지 완공에 맞춰 616가구 규모의 군인아파트 건립을 추진했으나 주민 반대 등으로 설명회가 3차례나 무산되자 5개의 후보지 가운데 강정마을 강정초등 남서쪽 지역(면적 5만 9504㎡)을 후보지로 결정했다. 해군은 이곳에 384가구 규모의 군인 아파트를 건립하기로 하고 고속정 승조원 등 긴급 요원이 상주할 72가구에 대해 우선 공사에 착수했다.
해군은 내년 말까지 해군 3000여명이 제주기지에 상주하게 돼 기혼자 등을 위한 군인아파트 건립이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제주해군기지사업단 장민정 공보담당은 “현재 학생 수가 62명인 강정초등학교는 군인아파트가 들어서면 학생 수 증가 등으로 통폐합 대상에서 제외되는 등 학교가 다시 살아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해군은 내년 말까지 인근 지역의 아파트 200여 가구를 매입하고, 나머지 300여 가구는 부지를 사들여 추가로 관사를 짓거나 인근 아파트를 사들여 관사를 확보할 계획이다.
하지만 강정마을 주민과 지역 시민사회단체는 해군이 강정마을 전체를 군사기지화하려 하고 있다며 군인아파트 공사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강정마을회는 “군인아파트가 강정마을 안으로 들어오는 것은 해군 기지의 확장으로밖에 볼 수 없다”며 “더구나 해군이 환경영향평가나 주민 동의를 구하지 않기 위해 72가구 규모로 사업 면적을 줄이는 꼼수까지 부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강정마을회 관계자는 “긴급 출동이 필요한 고속경비정 승무원 관사는 해군기지 내부로 정하고 나머지 관사는 강정마을이 아닌 인근 지역 민간 아파트를 임대하거나 매입해 사용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제주도는 내년 해군기지 완공 전까지 강정마을 공동체 회복 등 해군기지 갈등을 해소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다음달 진상규명위원회를 구성, 내년 1월부터 본격 조사에 착수한다는 계획을 세워 두고 있다.
제주 황경근 기자 kkhwang@seoul.co.kr
2014-11-0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