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관·체험마을·축제 등 육성
대전시는 23일 ‘곤충산업 육성 5개년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내년 상반기 한밭수목원에서 문을 여는 곤충생태관과 연계한 것으로 농림축산식품부, 충남대, 한국곤충산업협회 등 자문협의회 논의를 거쳐 확정했다.
시는 188억원을 들여 곤충사육 농가가 많은 유성구 성북동에 내년쯤 곤충체험마을을 조성하는 등 각종 사업을 벌인다. 교육청과 함께 방과후 프로그램으로 곤충생태체험학교를 운영하고 곤충생태관이 지어지면 곤충축제와 곤충요리 경연대회도 연다. 시는 이런 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올해 안에 곤충산업 지원조례를 제정한다.
곤충생태관은 국·시비 50억원이 투입돼 한밭수목원 2006㎡의 부지에 지상 3층 규모로 건립되며 유리온실 등이 들어선다.
지구 동물의 70%를 차지하는 곤충은 장수풍뎅이, 사슴벌레, 나비 등 학습이나 체험 및 애완용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진딧물을 잡아먹는 무당벌레와 같이 유해곤충의 천적으로 자주 사육되고, 벌처럼 수정을 도와주는 매개체로도 쓰인다. 식품 및 의약품 원료로도 갈수록 용도가 커지고 있다.
국내 곤충산업 시장 규모는 2980억원이며 2020년에는 7000억원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미래의 신성장 동력 산업으로서 전망이 매우 밝다.
권선택 시장은 “대전은 곤충산업 유통의 중심지로 발전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며 “전국 곤충 생산품의 유통 집적화를 위해 온·오프라인을 갖추는 한편 생산 기반을 닦는 데도 온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대전 이천열 기자 sky@seoul.co.kr
2015-02-24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