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성 등 이색 협의회 봇물
지자체들의 상생 바람이 거세다. 역사성 등 그냥 지나칠 수 있는 공통점까지 찾아내 손을 잡고 있다.
|
협의회가 발족되면 의병선양사업 발굴 및 추진, 청소년의병 조직을 통한 범국민운동 전개, 의병관련 국가정책사업 발굴 등을 추진한다. 손영범 제천시 의병담당은 “국가적 위기 때마다 큰 역할을 했던 의병정신의 필요성을 강조했던 이근규 시장이 협의회 구성을 제안했다”며 “협의회는 의병사업뿐만 아니라 각종 행사 동참 등 다양한 상생사업을 벌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기초단체가 제안한 협의회에 이처럼 많은 지자체가 참여하는 것은 보기 힘들다”고 덧붙였다.
경남 함양, 경북 경주·문경, 전북 군산, 충남 서산, 부산 해운대구 등 8개 지자체는 오는 23일 ‘고운 최치원 인문관광 도시연합 협의회’를 발족한다. 이들은 지역별로 산재된 최치원 선생 유적을 한꺼번에 돌아볼 수 있는 관광상품을 개발할 계획이다. 협의회 구성은 최치원 선생이 태어난 경주시가 제안했다. 이정현 함양군 관광담당은 “중국은 당나라에서 유학하며 문장가로 이름을 떨친 최치원 선생 사료관을 지어 한국 관광객들을 유치하지만 국내에는 최치원 관광상품이 빈약해 공동사업을 추진하게 됐다”며 “함양은 최치원 선생이 군수로 부임해 조성한 우리나라 최초의 인공숲 등이 있어 참여했다”고 밝혔다.
지역 명칭과 농산물 등도 협의회 매개체가 된다. 경북 안동 등 16개 지자체는 ‘전국고추주산지 시장군수협의회’, 서울 용산과 강원 원주 등 15개 지자체는 ‘미군기지주둔지역 단체장협의회’, 경기 양주 등 14개 지역은 지역이름에 고을 ‘주(州)’자가 있다는 이유로 ‘전국동주(同州)도시교류협의회’를 구성했다. 지명에 내 ‘천(川)’자가 들어가는 경기 과천 등 10개 지자체는 ‘전국청정도시협의회’를 만들었다.
전문가들은 지자체 간 상생이 체계적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충고한다. 육동일 충남대 자치행정학과 교수는 “다른 지자체와 상생사업을 하기에 앞서 주민들의 동의를 구하고 상생 효과를 면밀히 분석해 볼 필요가 있는데 그런 지자체를 찾아보기 힘들다”며 “철저히 준비하지 않으면 지자체 간 협의회 구성이 정치적 쇼나 일회성 이벤트로 전락할 수 있다”고 말했다.
청주 남인우 기자 niw7263@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