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철수 서울시의원 자료 공개
최근 5년간 비리로 적발된 서울시 공무원은 132명이고 이중 38명이 징계를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서울시가 지난 2일 전철수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장(동대문1선거구)에게 제출한 ‘최근5년, 서울시 공무원 부조리 신고 현황’에 따르면 부조리 관련 2010년 20명, 2011년 34명, 2012년 36명, 2013년 23명 그리고 지난해 19명이 신고됐으며 이들은 업무와 관련하여 금품을 수수하거나 향응 등을 제공받아 동료 공무원 등에게 적발됐다. 또 공무원의 비위를 신고한 사람에게 9918만원을 신고보상금으로 지급했다.
|
전철수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장 |
서울시는 지난 1999년 공무원의 비위행위를 근절하기 위해 ‘부조리신고 및 보상금지급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다.
시행 당시 금품수수와 향응제공을 받는 행위자로 비위 대상자를 한정했다. 이후 서울시 재정에 손실을 끼친 행위, 공무원의 공정한 직무수행을 저해하는 알선·청탁 행위, 서울시의 청렴도를 훼손한 부조리 행위 등으로 대상자를 확대했다.
이에 따른 신고보상금으로 부당이득을 취한 공무원을 신고한 경우 그 추징·환수액이 1억 미만인 경우 그 금액의 20%부터 40억초과시 3억4600만원+40억 초과금액의 4%을 지급한다. 또 서울시 청렴도를 훼손한 경우 200만원부터 2억원까지, 금품·향응 수수행위를 신고한 경우 그 금액의 10배 이내를 지급하도록 규정했다.
전철수 위원장은 “경찰에 수사의뢰한 4명의 공무원은 금품·향응수수와 관련되어 있다”며 “금품 관련 비위가 발생하면 지휘감독자의 책임 범위를 확대하고, 상사 또는 동료 등의 비위사실을 알고도 신고나 고발 의무를 다하지 않은 공무원도 징계하도록 「서울시 지방공무원 징계 등에 관한 규칙」를 개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