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토론회에는 각계 전문가와 일반시민이 참석하여 누리과정 재원배분 상에 나타난 문제점을 지적하고 정부의 적극적인 해결책 마련을 주문했다.
|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가 주최한 ‘안정적 누리과정 예산 마련을 위한 토론회’가 24일 오후 2시 서울시의회 의원회관 2층 대회의실에서 열려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에서 일곱번째가 김문수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장, 여덟번째가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 맨 오른쪽은 김기중 서울신문 기자. 사진 서울시의회 제공. |
발제자로 나선 송기창 교수(숙명여자대학교 교육학부)는 “누리과정을 원활히 추진하기 위해서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 규모에 대한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당위성을 설명하면서 “교부금 내국세 교부율을 최소한 현행 20.27%에서 22.07%까지 인상하는 것이 유일한 해결책”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강혜승 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모회 서울지부장은 “정부가 위법한 시행령을 근거로 각 시·도교육감의 예산편성권을 압박하고 강제하는 것은 너무도 무책임한 처사”라고 비판하면서 “정책의 최고결정권자인 대통령이 책임 있는 자세로 합리적인 대안을 하루 빨리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기중 서울신문 기자는 “누리과정 재원배분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와 각 시·도교육청 간 대화기구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누리과정 문제의 시발점은 위법한 시행령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에 유아교육과 보육에 관한 전반적인 법령정비가 함께 논의되어야 하며 입법기관인 국회도 이러한 작업에 동참”하여야 한다고 의견을 밝혔다.
마지막 토론자로 나선 이대우 성북교육지원청 재정지원과장은 “누리과정은 현 정부의 공약으로 국가부담이 원칙”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누리과정 해결을 위한 사회적 논의기구의 구성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를 통해 누리과정 재원배분의 합리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외에도 참석자들은 대통령의 무책임한 공약과 지방에 대한 재정부담 전가로 인해 지방교육재정이 더욱 악화되고 있음을 지적하고, 정부가 유보통합에 대한 책임 있는 태도를 보여 줄 것을 촉구했다.
이날 사회자로 나선 김문수 위원장은 “내년 누리과정 재원분담 문제와 관련하여 서울시의회 의원들이 매주 청와대와 국회 앞에서 1인 시위를 하고 있다”면서 “국가 백년지대계인 교육은 정책적 실험의 장이 되어서는 안 되며, 대통령이 국민을 상대로 약속한 정책이라면 더욱 책임지는 자세를 취해야 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역설하면서 토론회를 마무리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