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첫 ‘장기 재정 전망’ 발표
정부가 나랏빚에 대한 ‘우울한 미래’를 예고했다. 씀씀이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2060년 국가채무비율이 국내총생산(GDP) 대비 62.4%로 치솟는다고 분석했다. 올해(41.3%)보다 21.1% 포인트 급등한 것이다.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등 사회보험의 재정건전성 악화는 더 심각하다. 2025년 건강보험부터 순차적으로 기금 고갈에 직면할 것으로 전망됐다.
|
국가채무비율은 앞으로 ‘재량 지출’(정책 의지에 따라 조정 가능한 예산)을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2060년 38.1~62.4%에 이를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재량지출이 경상성장률(성장률+물가상승률) 수준으로 증가하면 국가채무비율은 62.4%까지 오른다. 신규로 의무 지출이 도입되거나 기존 복지 지출의 단가가 상승할 경우 88.8~99.2%까지도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재량지출을 해마다 10%씩 줄이는 세출구조조정에 성공하면 지금보다 낮은 38.1%로 떨어진다.
세종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5-12-05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