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출근별곡
# 월 60만원 열차티켓 감당 안 돼 할인권“거, 너무한 거 아니에요. 이 좁은 데서 그러고 계시면 어떡해요.”
“아, 네, 죄송합니다. 제가 급하게 처리해야 할 게 있어서요.” 오늘도 어김없이 쏟아지는 항의. 하지만 이내 나는 노트북으로 고개를 떨군다. 아침 7시. 나의 출근 전쟁터는 서울에서 세종시 오송역으로 향하는 열차 안이다. 차창 밖으로 잠시 시선을 두었다가 이내 의자를 젖혀 달콤한 아침잠을 청하는 모습을 상상한다면 오산이다. 나는 날마다 열차를 잇는 통로에서 열 명이 넘는 사람들과 부대끼며 50분을 버텨내고 있다. 편히 앉아서 갈 수 있으면 좋으련만, 빠듯한 월급으로 한 달에 60만원에 이르는 기차 비용을 감당할 수 없어 50% 할인을 받는 정기권을 이용하고 있다. 문제는 그 정기권이 자유석이 원칙이지만 자리가 없어 늘입석이라는 점이다. 통로에 의자 2개가 있긴 하지만 이를 선점하는 건 하늘의 별 따기다. 겨우 생각해낸 것이 통로 한쪽의 짐칸 선반에 노트북을 펴놓고 기대어 허리를 맡기는 것이다. 짐칸에 떡하니 터를 잡고 있는 나를 향해 매일 아침 비난이 쏟아지지만, 얼굴에 철판을 깔고 또 버텨본다. 살아야 하니까.
몸을 옴짝달싹할 수도 없을 만큼 좁아터진 통로에서 출근 전쟁을 하는 사람들은 나처럼 세종시로 향하는 공무원들이다. 대개는 스마트폰 하나에 의지하며 시간을 보내지만, 선 채로 용케 잠을 청하는 이도 있고 보고서를 들여다보거나 업무와 관련된 비상 통화를 하는 이도 있다. 한배를 탄, 아니 한 열차를 탄, 그것도 입석을 탄 고단한 공무원들의 모습이 곧 나의 모습이기에 짠하다. 하지만 고단함을 견디는 것도 하루 이틀이다. 피로가 누적되다 보니 머릿속은 온통 ‘어떻게 하면 좀더 편하게 갈 수 있을까’라는 생각으로 가득하다. 그러다 번뜩 떠오른 아이디어가 있었다. 바로 ‘낚시 의자’다. 설마? 그 낚시 의자? 맞다! 가로, 세로 25㎝ 남짓한 낚시 의자에 몸을 맡겨 보기로 한 것이다. 태양의 후예 송중기는 천 번을 생각하고 한 번 행동했다지만 나는 세 번 정도 고민하고 바로 실행에 옮겼다. 살아야 하니까.
# 열차 통로 의자 2개 선점은 하늘의 별따기
예상은 빗나가지 않았다. 낚시 의자를 꺼내 앉자마자 터진 웃음소리, 야유, ‘얼마나 힘들었으면’ 하는 안타까움 섞인 위로 등등. 하지만 나는 얼굴에 두꺼운 철판을 겹겹이 두르고 버텨냈다. 그런데 낚시 의자에 앉아 출근을 한 지 3일째 되던 날, 며칠째 지켜봤다며 사진을 좀 찍어도 되겠냐는 요청을 받았다. 자신의 페이스북에 출퇴근하는 공무원의 이모저모를 추억으로 남기고 싶다고 했다. 아차차, 이건 아니다 싶어 단칼에 거절했다. 그리고는 곧바로 낚시 의자를 접었다. 짧았지만 강렬했던 나의 출근용 의자는 그렇게 사라지고 말았다.
# 고단한 출근길…고안한 아이템에 야유
장순애 명예기자 (고용노동부 청년고용기획과 사무관)
2017-03-06 3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