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조사는 농림축산검역본부와 공동으로 2010~2016년까지 흑산도와 홍도를 중간 기착지로 이용하다 폐사한 야생조류 82종, 310마리를 대상으로 실시했다. 검사 조류는 쑥새·제비·황금새 등으로 다양했으며 흰배지빠귀가 60마리로 가장 많았다.
아프리카·유럽·아시아·미국 등지에서는 250종 이상 폐사 또는 빈사 상태 조류에서 바이러스 감염이 확인된 바 있다. 2016년 7월 러시아에서는 인체감염 사례가 발생했다. 국내에서는 2009년 오리류 4종, 5마리에서 항체가 검출됐고 2012년 국외에서 감염된 환자가 1명이 발생하기도 했다.
정부는 세계적으로 웨스트나일열이 확인되고, 우리나라 주변지역에서 발생이 보고되면서 국내 유입에 대비해 예찰 및 유입 방지에 나서고 있다. 이상 증상을 보이며 날지 못하거나 폐사된 야생조류 발견 시 행정기관이나 환경과학원, 가축방역기관 등에 즉시 신고해줄 것을 당부했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7-06-23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