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번 부결된 ‘생태제방 설치안’
문화재위원회가 세 번이나 부결한 ‘생태제방 설치안’이 또다시 심의위원회에 상정될 수 있을까?문화재청은 생태제방 설치안에 부정적이지만, 뚜렷한 대안이 없어 향후 재논의·검토될 가능성이 있다. 울산시의 심의위원회 재상정 의지도 강하다. ●암각화 앞 둑 쌓아 물 차단하려 추진
문화재청과 울산시는 지난해 7월 국무조정실 주관 회의 때 ‘생태제방에 대한 보완·개선책을 마련하면 암각화 보전 방안으로 추진하겠다’는 협의안을 마련, 전문업체에 기본계획 용역을 맡겼다.
두 기관은 용역 결과를 지난 7월 문화재심의위원회에 상정했으나 부결됐다. 주변경관 훼손과 공사 공법 등이 부결 이유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주변 경관 훼손과 공법 등의 문제가 확인돼 앞으로 개선될 가능성이 없어 보인다”며 “재추진이 사실상 불가능해 보이지만, 단정 지을 수 없는 만큼 추석 연휴 이후 관련 자료 검토·논의 등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경관·공법 문제 취소… 시민 고통 요구
이에 대해 울산시 관계자는 “문화재청이 개선안을 마련하려고 용역까지 해 놓고 추가 요구 등도 없이 부결한 것을 이해할 수 없다”며 “식수원인 사연댐의 수위를 낮추라는 것은 시민들의 고통만 요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학계 등 일부 전문가는 “반구대 암각화 보존의 가장 큰 목적은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에 있다”며 “문화재청과는 얘기가 안 되는 만큼 유네스코 관계자를 초청해 생태제방 등 암각화 보존 방안에 대한 직접 조언을 구할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
울산 박정훈 기자 jhp@seoul.co.kr
2017-10-18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