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만 서울 청소년 지원책 발표
선거 연령 낮춰 참정권 보장 추진2021년까지 5년간 4868억 투입 서울시가 청소년들의 능동적인 사회참여를 위해 지원 방안을 내놨다. 현재 만 19세인 공직선거권 연령을 만 18세로 낮추도록 정부에 관련법 개정을 요구하고 청소년 전용 정책 제안 시스템을 만드는 게 주요 내용이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170만 서울 청소년 지원정책인 ‘청소년 희망도시 서울’ 기본계획을 2일 발표했다. 서울시가 발표한 첫 중장기 청소년 정책으로 올해부터 2021년까지 5년간 총 4868억원을 투입한다. 박원순 시장은 “청소년의 건강성과 능동성은 얼마나 사회가 건강한지를 보여 주는 지표”라며 계획 취지에 대해 밝혔다.
|
시는 또 청소년들이 자신과 관련된 정책 수립에 참여할 수 있도록 청소년 전용 정책 제안 시스템 ‘유스 보이스’를 만들어 2019년부터 운영할 예정이다. 청소년을 비롯한 시민들이 시스템에 접속해 청소년정책에 대한 의견을 남기면 시 담당자가 검토 후 정책에 반영하는 구조다. 지난해 시범운영한 청소년 대의기구인 ‘서울시 청소년의회’도 올해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간다.
전체 지원 예산의 57%(2780억원)를 투입해 청소년이 활동할 수 있는 공간도 대폭 확충한다. 2021년까지 현재 55곳인 시립청소년시설을 62곳으로 늘리고 공공시설 내 유휴공간을 활용해 ‘아지트’로 이름 붙인 청소년 휴식공간 25곳을 연다.
시 관계자는 “청소년시설을 학교와 연계하는 방안에 대해 앞으로 시교육청과 논의해 활성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7-11-03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