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방역 위해 작년 3월부터 잠정 중단
청사관리본부는 시스템 2개월간 가동 중
논의 거쳐서 서울·세종청사 등 확대 계획
“보안 중요… 동료 출입증으로 출입 적발도”
25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정부청사관리본부는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지난해 3월부터 사용을 잠정 중단했던 정부청사 안면인식시스템 재가동을 준비 중이다. 청사관리본부는 이미 2개월가량 자체적으로 안면인식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으며, 방역 전문가 등과 논의를 거쳐 정부서울청사와 정부세종청사 등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정부청사 안면인식시스템은 정부청사 보안을 위해 입구에 설치해 청사를 출입하는 공무원의 신원을 확인하는 시스템이다. 2016년 공무원시험에 응시한 민간인이 도난 신분증을 이용해 정부서울청사에 몰래 들어가 시험 성적과 합격자를 조작한 사건을 계기로 도입했다. 하지만 이 방식은 출입할 때 반드시 마스크를 벗어서 사전등록한 얼굴과 대조하는 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실내에서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한 코로나19 방역지침과 충돌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게다가 코로나19 확산으로 정부청사에 근무하는 공무원들 중에서도 확진자가 나오자 결국 청사관리본부는 감염 위험을 줄이기 위해 지난해 3월 11일부터 안면인식시스템 사용을 중단했다.
마스크를 벗지 않고도 정부청사를 출입할 수 있게 되면서 출입은 한결 편해졌지만 정부청사 보안을 책임지는 청사관리본부 입장에선 고민이 클 수밖에 없었다. 외부인이 훔친 공무원증을 갖고 진입을 시도한다면 신원 확인을 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청사관리본부 관계자는 “청사관리본부로서는 코로나19 방역도 중요하고 보안도 중요하다. 안면인식시스템 중단은 방역을 위해 위험을 감수했던 것”이라며 “출입증을 집에 두고 온 공무원이 동료 출입증으로 청사를 출입하려는 것을 적발한 사례도 몇 차례 있었다”고 밝혔다.
청사관리본부에서는 코로나19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접하게 되면서 안면인식을 위해 1~2초가량 마스크를 벗는 것은 코로나19 감염 위험에 노출될 정도는 아니라고 보고 있다. 청사관리본부 관계자는 “지난 3월부터 청사관리본부가 위치한 정부세종청사 3동에서 안면인식시스템을 다시 사용하고 있는데 현재까지 확진자는 한 명도 없었다”며 방역은 지속적으로 철저히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1-05-26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