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수질 악영향에 부지 부족”
‘불가‘ 입장에 어민들 강력 반발
”생계대책 마련” 단체행동 움직임
도 “관계부처 협의로 해결 모색”
18일 전북도 등에 따르면 지난 11일 해양수산부와 농림축산식품부가 전북도와 이원택 국회의원실에 새만금 수산용지 제공이 어렵다는 입장을 통보했다.
정부는 1991년 새만금 사업 계획 당시 새만금 간척지를 100% 농업 식량 생산기지로 조성하는 대신 어민들을 위해 수산용지 2000㏊를 제공해 수산양식장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2001년 새만금호 수질에 악영향이 우려된다며 양식장 조성을 유보했고, 이후 지난해 초 마련된 새만금기본계획에도 수산용지가 포함되지 않았다.
이에 지역 수협과 어민들이 새만금 연안 어업인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어업인 권익 보호와 생계를 위한 대책을 즉각 마련해 달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전북도와 정치권에서도 지역 어민들을 위한 수산용지를 반영해 줄 것을 지속적으로 요구했다. 정부의 약속보다 크게 줄어든 300㏊를 건의하는 등 어민 생존권 확보에 공을 들였다.
지역 반발에도 정부는 최근 “피해 어업인 및 전북 수산업 발전 등을 감안하면 수산용지 반영은 필요하다”면서도 “다만 관계 부처(농식품부)가 수질오염 문제와 농생명용지 축소 등에 따라 농생명용지의 수산용지 전환에 대해 부정적이다”라는 답변을 내놨다. 특히 수년간의 새만금 기본계획 변경 과정에서 농업용지가 100%에서 30%까지 대폭 축소돼 농식품부가 어민들에게 수산용지를 제공할 부지가 부족하고 이에 대한 의무도 없다고 했다.
전북도는 관계 부처와 지속적으로 협의해 해결책을 찾겠다는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새만금 수산용지 조성이 아직 취소된 건 아니다”라며 “농식품부, 환경부, 새만금개발청 등 여러 기관과 꾸준히 논의해 보겠다”고 말했다.
전주 설정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