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찬반 논란에 흐지부지
시민들 여론조사 뒤 지정 방침
서울시 “흡연공간 충분히 확충”
이달 11곳에 부스 5개씩 설치
|
초가을 날씨를 보인 28일 서울 마포구 난지한강공원에서 시민들이 산책을 하고 있다. 뉴시스 |
18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최근 여론조사 업체와 ‘한강시민공원 금연 구역 지정에 대한 여론조사’ 용역 계약을 체결했다.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 한강공원을 찾는 시민들이 늘어난 동시에 흡연자들이 내뿜는 담배 연기에 따른 간접흡연을 우려하는 사례도 덩달아 증가했다. 이에 시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강공원 내 흡연을 금지하는 데 대한 여론을 우선 파악한 뒤 금연 구역 지정 수순을 밟는다는 방침이다.
이와 동시에 시는 한강공원 내 흡연 부스를 충분히 만들고 ‘정해진 공간에서만 담배를 피우자’는 내용으로 계도 활동을 벌인다. 이번 달 안으로 한강공원 11곳에 각각 5개의 흡연 부스가 설치된다.
한강사업본부 관계자는 “시민 정서상 금연 구역 지정에 대한 필요성이 크지만 흡연자들의 반발을 불러올 수 있기 때문에 단속 및 과태료 부과 절차 이전에 흡연 공간을 충분히 확충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7년 만에 한강공원을 금연 구역으로 지정하는 것을 놓고도 찬반이 엇갈린다. 송재혁(더불어민주당·노원6) 서울시의원은 “시민들이 운동을 하거나 가족 단위로 나들이 나온 공원에 한해서는 흡연 구역을 만들어 주되 전체적으로 금연 구역으로 지정하는 게 맞는 방향”이라고 말했다. 반면 한강공원의 면적이 워낙 넓다 보니 유동인구가 없는 곳까지 흡연을 감시·제재하기 어려워 또 다른 규제를 양산한다는 지적도 있다.
한편 지난해 의대생 사망 사건을 계기로 수면 위로 떠오른 ‘한강공원 내 음주 금지’ 논의도 답보 상태다. 시는 당초 한강공원 전체에서 음주를 금지하는 방향으로 조례를 개정할 예정이었지만 현재는 물에 빠질 위험이 큰 곳을 중심으로 음주 금지 구역을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장진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