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우 경북지사 인터뷰
“대한민국 재도약을 위한 ‘지방시대’를 경북이 앞장서 열어 가겠습니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16일 “윤석열 정부 탄생의 일등 공신인 경북도가 국정목표인 지방시대를 주도하고자 준비위원회를 출범시켰고 100조원 기업 유치 투자유치특별위원회도 만들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이 지사는 “무엇보다도 지방시대를 공언한 윤석열 정부는 지방정부가 재정적 역량을 더욱 강화하고 국제무대의 주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해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 정부가 설치할 지방시대위원회의 위원장을 부총리급으로 격상시켜 여러 부처에 흩어진 지방 관련 정책들을 총괄적으로 살피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선 8기 출범과 함께 대한민국 17개 광역시도지사협의회 제50차 총회에서 만장일치로 제16대 초대회장에 선임된 이 지사는 지방정부의 경쟁력이 국가의 성장을 이끌어 가는 원천 동력이라고 믿고 모든 역량을 지방시대를 여는 데 집중하고 있다. 평소 지방 분권을 비롯해 지자체의 자치 입법·재정·교육·조직 등의 필요성을 앞장서 강조하며 의지를 실천해 왔던 그다.
이런 이 지사의 지방시대 신념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균형발전특별위원회 설치와 지방시대가 6대 국정목표의 하나로 자리매김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가 국회의원 시절 발의한 중앙지방협력회의법도 지난 1월 시행됐다. 중앙지방협력회의는 국가와 지자체 간 협력을 비롯해 권한·사무·재원 배분, 지역 간 균형발전, 지자체 재정·세제에 관한 문제를 논의하는 자리로 대통령이 의장으로 회의를 주재하고 공동부의장인 국무총리와 시도지사협의회장, 관계부처 장관 및 지자체장·의회의장 등이 참석한다.
그는 “중앙정부 중심에서 지방 중심으로 판 자체를 바꿔야 지방이 발전하고 국가경제가 재도약하는 기반이 된다. 그 시작점은 분권형 개헌”이라며 “중앙정부는 지방정부를 믿고 큰 폭의 권한 이양을 해야 한다”고 지방분권 개헌을 거듭 주장했다.
이 지사는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만들려면 서울에 사나 안동에 사나 동일한 교통·문화 혜택을 누려야 한다”며 “지방에도 수도권과 같은 교육, 의료, 문화, 예술, 교통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큰 폭의 지원과 투자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동 김상화 기자
2022-11-17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