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 광역단체가 추진한 역사서
공개 2주 만에 이의신청 77건
‘일제 식민사관’ 논란이 가장 커
10일 전북도에 따르면 지난달 24일부터 지난 7일까지 전북도 홈페이지 알림판(배너) 등을 통해 전라도 천년사를 온라인 e북 형태로 공개하고 의견을 받은 결과 77건의 이의서가 제출됐다.
전라도 천년사는 전라도 정도 천년을 맞아 2018년부터 2022년까지 3개 광역단체(광주시·전남도·전북도)가 추진한 역사서 편찬 사업이다. 역사와 문화, 예술 등 각 분야의 전문가 213명이 집필진으로 참여했다. 기존 천년의 역사에서 오천년사로 확대되면서 34권 1만 3559쪽에 달하는 책이 만들어졌다. 그러나 전라도 천년사가 ‘일제 식민사관’에 기초해 서술됐다는 논란이 잇따랐다.
이번 공개 의견 접수에서도 왜곡 문제에 대한 지적이 많은 것으로 파악된다. 정치권에서도 이 문제를 집중 거론하며 폐기를 촉구하고 있다. 강성희 진보당 의원은 “왜곡 논란이 제기된 내용에 대해 공개토론회 등의 검증을 거치고 공람 기간도 연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남도의회도 지난 4일 성명을 통해 “고대사 기술 과정에서 고조선 건국 시기를 왜곡하고 역사관을 통째로 왜곡하는 것은 도저히 묵과할 수 없는 일”이며 “이의신청을 떠나 전면 폐기해야 할 문제”라고 강하게 성토했다.
아울러 동학농민혁명 기념일을 놓고 팽팽히 맞섰던 고창과 정읍 간 갈등의 불씨도 지피고 있다. 전라도 천년사에는 동학농민혁명 시초가 고창 무장봉기일인 1894년 3월로 표기됐다. 고부봉기일인 1월을 시작점으로 여겨 온 정읍 지역의 반발이 거세다.
전주 설정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