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대위 내일 1만명 집회
지주사 실질 이전 외면
퇴진이 경제에 도움
지역경제·청년단체 우려
200명 이주 효과 의문
이차전지 투자 먼저
범대위는 지난주부터 보도자료 등을 통해 “포스코그룹 황제를 자처하는 최 회장을 쫓아내는 게 포스코, 포항, 국민경제에 도움이 된다”며 집회를 강행할 뜻을 전했다. 범대위는 15일 오후 3시 포항시 남구 괴동동 포스코 본사 앞에서 1만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최 회장 퇴진을 촉구하는 궐기대회를 연다고 13일 밝혔다.
범대위는 “포스코홀딩스가 이전에 합의했지만 주소만 이전해 포항에는 본사 껍데기만 2개 있고 서울에 실질적인 본사가 2개 있다”며 “지역을 철저히 외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미래기술연구원을 포항 중심으로 운영하기로 합의해 놓고 최 회장은 경기 성남 위례지구에 1만 7000평을 매입해 분원을 설치, 사실상 수도권 중심으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포스코가 국민기업이 아니라면서 자신의 탐욕을 추구해 온 최 회장에게 남은 것은 즉시 사퇴뿐”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포항지역 경제·청년단체들은 범대위 집회를 우려한다. 포항상공회의소는 지난 8일 입장문에서 “지금은 이차전지 특화단지 유치를 위해 지역의 모든 역량을 결집할 때”라며 “이런 시기에 갈등을 야기하는 집회가 예정돼 안타깝다”고 밝혔다. 이어 “지역사회 안정과 지역경제 발전을 위해 더이상 불필요한 소모적 논쟁보다는 협력 방안을 모색해야 할 때”라며 “포스코도 이차전지와 수소 등 미래 신사업분야에 포항 투자를 더 확대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포항JC(청년회의소) 등 청년단체도 최근 성명을 내고 “화합을 위해 노력해야 할 시민단체가 ‘200명도 채 안 되는 포스코홀딩스 서울직원 모두 포항으로 와야 한다’고 주장하며 갈등을 부추긴다”고 비난했다. 포스코 포항제철소 협력사협회 역시 “지금 범대위가 하는 최 회장 퇴진운동이 과연 시민을 위한 일인지 궁금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포항 김상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