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시티’ 보폭 넓히는 오세훈, ‘북자도’ 홍보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이자만 130억’ 날린 마산해양신도시 원점… 법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4개 특별자치시도 뭉쳤다… “자치분권 혁신”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수박 겉핥기’ 특별지자체 감사위… 시도·교육청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전남 섬지역 응급의료체계 구축 시급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유인섬 중 247개 섬 병의원 없어
“전문 구급선·신고 일원화 필요”


섬 지역 응급환자의 이송을 위해 운영 중인 ‘나르미선’.
전남소방본부 제공

“지난해 섬 응급환자를 선박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제대로 된 응급 안전시설이 없어 환자가 바다로 추락해 숨지는 사고가 났습니다. 폭우와 태풍 등 악천후에는 몸이 아파도 뾰족한 방법이 없어 날씨가 좋아질 때까지 기다릴 수밖에 없습니다.”

전남 섬지역 응급환자를 위한 전문 응급 구급선 도입과 구급 신고 일원화 등의 응급 의료 체계 구축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행정안전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남의 유인섬 중 247개 섬은 병원과 의원 등 의료기관이 없고 162개 섬은 보건진료소조차 없다.

연륙연도교가 없는 전남 섬 주민들은 응급상황 발생 시 헬기나 선박으로 병원을 가야하고 기상 여건이 좋지 않은 날에는 이마저도 이용이 어려운 상황이다.

전남 소방본부와 해양경찰 등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섬 지역 응급환자 이송은 헬기가 255회, 선박이 1005회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헬기는 야간 이송 등이 어려워 선박 이송이 헬기보다 네 배나 많다. 하지만 전남 섬 지역 응급환자의 이송을 위해 운영 중인 ‘나르미선’은 소형어선들로 구성돼 법적 근거도 없고 제대로 된 응급처치 장비도 없는 상태다. 섬 응급환자의 빠른 이송과 적절한 응급조치를 위해서는 전문 구급선 도입이 시급한 실정이다.

여기에 해경은 섬 응급환자 구급 신고 시 공중보건의사나 보건진료소를 거치도록 하는데 의사가 24시간 근무하지 않고 있어 시급한 응급상황에서는 의료공백이 우려되고 있다. 해경과 119 등으로 나눠진 섬 응급의료 신고체계를 일원화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무안 류지홍 기자
2023-09-22 9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츮  ڶŸ Ÿ&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