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K푸드+’ 수출액이 130억달러(90조원)를 돌파하면서 역대 최고 실적을 갈아치웠다. K푸드+는 농식품과 전후방산업(스마트팜, 농기자재, 동물용 의약품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7일 지난해 K푸드+ 수출액(잠정)이 전년보다 6.1% 늘어난 130억 3000만 달러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농식품 수출액은 99억 8000만달러로 9.0% 증가해 9년 연속 성장세를 이어갔다.
라면과 김치 등 14개 품목이 사상 최대실적을 찍었다. 수출 1위 라면이 12억 4850만달러로 31.1% 성장했고, 쌀가공식품은 38.4% 늘어난 2억 9920만달러였다. 김치 수출액은 5.2% 늘어난 1억 6360만달러로 3년 만에 최대치를 고쳐 썼다. 농식품부는 “라면은 미국 텍사스의 대형 유통매장에 입점해 수출이 70% 이상 증가했고, 쌀가공식품은 간편하게 한 끼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선호가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대부분 권역에서 수출이 늘었다. 특히 냉동김밥이 인기를 끈 미국, 건강식에 관심이 높은 유럽, 라면 수요가 늘어난 중남미에서 20%를 웃도는 성장률을 기록했다. 미국 수출액은 역대 최대 15억 9290만달러로 집계돼 1년 전보다 두 계단 올라 1위 시장이 됐다. 2위와 3위는 중국(15억 1260만달러), 일본(13억 7400억달러)이었다.
농산업 수출은 30억 4700만달러로 2.4% 줄었다. 반려동물 사료와 동물용 의약품, 농약 등 수출이 늘었지만, 수출액 비중이 큰 농기계와 스마트팜 수출이 둔화한 영향이다. 스마트팜은 전년 대형수주의 기저효과로 수출·수주액이 줄었다. 다만 수주 건수가 7건에서 18건으로, 진출국도 9개국에서 12개국으로 늘었다.
세종 강동용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