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위사업청(청장 석종건)은 「국방과학기술혁신 촉진법」 및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에 근거하여, 우리 군이 요구하는 무기체계 획득을 위한 중·장기 기술확보 전략을 담은「'25~'39 국방기술기획서」를 19일 발간했습니다.
* 국방기술기획서 : 국방 핵심기술 및 미래도전국방기술에 대한 중·장기 기술확보 로드맵, 과제 및 세부정보를 수록한 문서
국방기술기획서는 향후 15년간의 국방과학기술 개발 방향과 기술확보 로드맵을 제시하며, 첨단기술 기반의 미래 무기체계 개발을 위한 전략적핵심 자료로 활용될 예정입니다.
특히, 「'25~'39 국방기술기획서」에는 국방전략기술 10대 분야, 30개 기술을 상세분석하여 기존 분석된 87개 세부기술을 100개로 세분화하고 기술별 예상 목표를 정량화하여 제시함으로써, 산·학·연이 향후 과제에 참여할 때 명확한 목표 설정을 통해 연구 방향을 수립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국방전략기술 10대 분야 : ① 인공지능, ② 유·무인복합, ③ 양자, ④ 우주, ⑤ 에너지, ⑥ 첨단소재, ⑦ 사이버·네트워크, ⑧ 센서·전자기전, ⑨ 추진, ⑩ WMD 대응
또한, 각 기술 목표의 달성 시기를 단계별로 도출함으로써 기술개발의 실현 가능성과 추진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명확한 기술 로드맵을 기반으로 단계적 추진 전략을 수립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기술개발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번 국방기술기획서 발간을 위해 산·학·연·군의 다양한 전문가 의견을 폭넓게 수렴했으며, 'AI 기반 유·무인복합전투체계' 등의 미래 첨단 무기체계를 대상으로 무기체계 기반 로드맵도 함께 수록하였습니다.
방위사업청 국방기술보호국장(고위공무원 한경수)은 "이번「'25~'39 국방기술기획서」의 발간으로 미래 안보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기술 주도형 국방 혁신을 통해 우리 군의 첨단무기체계 확보 계획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국방기술진흥연구소는 「'25-'39 국방기술기획서」를 토대로 우수한 민간기술을 적극적으로 국방분야에 유입하기 위해, 산·학·연이 참여 가능한 과제를 사전에 인지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일반본을 작성하여 배포할 계획입니다.
「'25-'39 국방기술기획서(일반본)」에는 국방기술 과제에 대한 개요, 예산, 기간, 연구항목 등의 세부정보를 수록하고 있으며, 국방기술진흥연구소 누리집(http://www.krit.re.kr)에서도 열람할 수 있습니다. <끝>
첨단 국방기술의 이정표, 「국방기술기획서」로 미래를 설계하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