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시연구소 홍인옥 연구원은 2일 서울 중구 정동 프란체스코회관에서 녹색사회연구소 주최로 열린 ‘서울시 뉴타운 사업의 평가와 지속 가능성 실현방향 모색’ 토론회에서 “시와 자치구는 뉴타운 개발 사업지인 1차 시범지구와 2차 지구 선정과정에서 지역주민의 의견수렴을 제대로 거치지 않고 일방적으로 대상지구를 선정, 추진과정에서 주민들의 반발에 부딪히고 있다.”고 주장했다.
홍 연구원은 “충분한 사전협의 없는 뉴타운 지정으로 주민들은 개발 찬성과 반대로 나뉘어 반목하고, 찬성자도 개발방식과 내용을 두고 서로 대립하는 양상”이라고 말했다. 이어 “주민들을 배제한 채 진행되는 개발은 물리적 공간상으로는 최선일지 모르나 주민들의 삶이 담겨있는 생활공간으로서는 하지 않느니만 못하다.”고 비꼬았다.
이에 대해 뉴타운 계획수립에 참여한 H종합건축사사무소 이사 김대성씨는 “보다 높은 수준의 도시환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도로와 녹지 등 공공시설이 대폭 늘어나는 방향으로 계획을 수립할 수 밖에 없고, 이는 주민들의 부담과 직결되나 이를 완화하기 위한 용도지역의 조정 등이 불확실한 상태에서 주민들과 논의를 진행하기는 어려운 일”이라고 반박했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