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두한 감사원 기획관리실 주사 배두한 감사원 기획관리실 주사 |
배씨는 “관료사회에서 변화와 혁신은 선택이 아니다.”면서 “공무원이 변하지 않으면 국민에게 외면당할 수밖에 없는 시대가 왔다.”고 말했다.
그는 공직에 첫발을 들여놓았을 당시 자신의 경험부터 소개했다.
“초창기 3년 동안 나에게 주어진 서무업무는 초등학교만 졸업해도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었습니다. 국민에게 봉사하겠다는 자부심은 어디론가 사라지고 공직에 대한 회의감이 들기 시작했습니다.”
초창기 회의감이 그를 혁신주의자로 변하게 한 것은 아니다. 이후 다른 부처 공무원에 대한 감사업무를 하면서 절실히 느꼈다.
“상당수 공무원들은 맡은 바 일을 열심히 합니다. 문제는 자신이 맡은 업무의 목적이 무엇인지, 더 나아가 자신이 속한 실·국과 부처의 장기적인 행정목표가 무엇인지는 모릅니다.”
그는 이렇게 된 원인을 ▲자발적인 복종 ▲법규 만능주의 ▲선임자가 하던 대로 따라하기 등 세가지 풍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세가지 풍조대로 근무해도 뒤쳐지지는 않지만 변화와 발전은 기대할 수 없다고 했다. 이런 풍조는 하급직 공무원에서 더 많이 발견된다고 말했다.
“2003년 초 대구지하철 참사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화재 당시 현장을 가장 잘 알 수 있는 사람은 기관사(일선 공무원)입니다. 그러나 기관사(일선 공무원)는 급박한 상황에서 자율적 판단을 하지 못한 채 사령실 지시에만 의존하려는 타율성을 보여 참사로 이어졌습니다.”
배씨는 모든 공무원은 자신의 업무가 갖고 있는 목표부터 파악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후에는 목표실행을 위해 해야 할 일을 스스로 찾아야 한다고 했다. 습관처럼 해오던 일이라도 목표와 상관없는 일은 과감히 없애야 한다는 것. 이를 위해서는 민간기업과 같은 성과관리시스템이 전면 도입돼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말까지 특별조사국에서 근무했던 배씨는 혁신에 대한 소신이 평가돼 현재는 기획관리실 혁신평가담당관실로 발탁됐다.
그는 공무원 혁신을 이렇게 빗댔다.
“달걀은 바깥에서 깨지면 계란 프라이가 되지만 안에서 스스로 깨고 나오면 병아리가 됩니다.”
강충식기자 chungsi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