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봉석 문화부 혁신인사기획관 강봉석 문화부 혁신인사기획관 |
“93년 4월 이전과 지금을 비교해볼 때 문화부 조직은 하늘과 땅 차이가 있습니다. 인사는 물론, 교육, 회의, 업무추진 등 모든 방식이 바뀌었어요. 이같은 혁신의 밑바탕엔 자율과 창의, 실질이란 개념이 깔려 있습니다.”
우선 인사에선 인사권자 재량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게 했다. 다면평가제를 도입해 평가의 다양성을 반영하고, 승진·전보 인사때면 직원들이 토론에 참여해 의견을 개진하도록 했다.‘내’가 아닌 ‘우리’가 하는 인사라는 공감대를 갖도록 한 것이다. 보고 위주의 간부회의를 폐기했으며, 결재와 의사소통 절차도 대폭 축소했다.
●6·7급 ‘자율 업무 전담제’ 도입
또 사무관 업무 보조 역할에 머물렀던 6·7급 직원들을 대상으로 ‘자율적 업무 전담제’를 도입했다. 스스로 책임과 권한을 갖고 적극적으로 업무를 처리하게 하기 위함이다.
특히 현재 운영중인 ‘과제탑승제’는 다른 곳에선 볼 수 없는 독특한 업무시스템이다. 특정 부서에 속하기 어렵거나, 새로운 개념의 사업을 하게 될 경우, 희망자가 자발적으로 ‘탑승’해 팀을 꾸려 업무를 마무리짓고 ‘하차’하는 방식. 기존의 고유 업무를 하면서 퇴근 후나 주말 등 틈틈이 시간을 내 일을 한다. 현재 외국인 근로자 문제를 문화적으로 접근, 언어와 음식, 한국문화, 생활체육 등을 지원하는 사업을 하고 있는데, 문화부 안팎에서 그 효과가 탁월하다는 평가를 듣고 있다.
강 기획관은 “혁신의 관건은 구성원들이 변화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라며 “이를 위해 개인과 개인, 부서와 부서, 외부 문화현장과의 상호소통과 신뢰를 회복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임창용기자 sdrago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