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서울대 교수회관에서 열린 관악구 구정발전자문위원회에서 참신하고 미래지향적인 제안이 쏟아졌다. 관악구 구정발전자문위원회는 지난해 11월 서울대 황우석 교수를 비롯해 미국, 일본 등 국내외 석학 23명으로 구성돼 다른 자치단체에서도 관심의 대상이 됐다. 이번 회의에는 윤정일 서울대 사범대학장 등 13명의 국내 교수진이 참석,10∼20년 뒤 관악구의 미래를 예측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모델 개발에 대해 심도있는 논의가 펼쳐졌다.
이연택 한양대 교수는 “과거 궁핍했던 관악구의 잔존 이미지를 탈피해야 한다.”며 평생교육, 청정환경 등 새로운 비전을 홍보하고 지속적인 브랜드 관리와 가치창조를 맡는 구청장 직속의 태스크포스팀 구성을 제안했다. 김기호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생활권내 공원, 공공시설을 충분히 확보해 주민 삶의 질을 높여야 지역경쟁력도 높아진다.”고 주장해 눈길을 끌었다.
이에 앞서 관악구는 통합신청사 건립, 평생학습도시, 과학문화도시,R&D(연구개발) 특구, 뉴타운 사업, 난곡지역 신교통수단 도입 등 올해의 주요 업무를 보고하고 조언도 구했다.
구는 앞으로 구정발전자문위원회가 구정발전을 위한 싱크-탱크(Think-Tank)역할을 주도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예정이다. 특히 구정에 신선한 감각을 불어넣고 주민참여의 통로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역내 거주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정책에 대한 발전적 대안이나 아이디어도 폭넓게 공모할 방침이다.
이동구기자 yidonggu@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