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월파동 성포중학교 3학년 10반 담임 윤종일(33) 선생님이 서울신문과 ㈜CJ가 진행하는 ‘아침을 먹자’ 건강캠페인에 사연을 보내왔다. 비평준화 지역인 안산시에서 9일 고교 입학시험을 치를 제자들에게 겨울철 별미인 백설 ‘다담 바지락 순두부찌개용’으로 만든 아침도시락을 선물하고 싶다는 내용이었다.
“아침을 거르고 오는 아이들이 태반인 교실에 들렀다가도 뭐가 그리 바쁜지 허겁지겁 종례를 마칩니다. 그래서 아이들의 뒷모습을 볼라치면 미안한 마음이 듭니다.”
직장생활을 하다 3년 전 국어교사로 발령받은 윤 선생님은 중3학생을 처음 맡아서인지 더욱 마음이 쓰인다고 했다.
“행운이 주어진다면 10개라도 좋습니다.”
학생 43명이 다 먹기에는 부족하지만 7일 다담 도시락 15개를 보냈다.‘햇반’ 밥과 더불어 김장독 시스템으로 발효, 독에서 갓 꺼낸 듯한 숙성김치 ‘햇김치’와 위생적인 간편반찬 ‘햇찬’ 소고기 장조림, 무말랭이를 밑반찬으로 넣었다.
당첨 소식을 하루 전에 확인한 윤 선생님은 아이들에게 아침에 먹을 햇반을 갖고 오라고 얘기했다.20여명의 학생들이 챙겨왔다.
이날 오전 8시30분, 순두부와 밥이 도착했다.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서 배달된 거라 뜨겁진 않고, 따끈했다. 책상을 붙이고 마주 앉은 아이들은 반찬과 밥을 나누더니 신나게 먹었다. 소식을 들은 방송반 학생들은 계속 카메라 셔터를 눌러댔다. 포즈를 취하느라, 밥을 먹느라 아이들은 분주했다.
바지락 순두부찌개와 함께 온 양념을 다 넣은 아이들은 “너무 짜다.”며 얼굴을 찡그렸다. 맛을 보며 조금씩 더하는 게 노하우다.10여분 만에 밥과 반찬을 뚝딱 해치웠다.
윤 선생님은 아이들 주변을 돌며 어깨를 토닥거렸다.
“안산지역은 결손가정이 많아요. 그래서 아이들이 선생님을 형이나 삼촌으로, 학교를 집으로 느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오늘, 그 노릇을 조금 한 것 같네요.”
정은주기자 ejung@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