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억원 이상 재산이 늘어난 고위법관은 모두 33명, 재산증가 상위 10위 중 3명은 본인이나 가족의 재산상속으로 인한 것이었고 나머지 7명은 토지수용 및 부동산 차익으로 인한 것이었다. 재산증가 순위 11∼20위에서도 부동산 값 상승으로 인해 재산이 증가한 고위법관은 6명이나 됐다.
|
재산총액에서는 심상철 서울고법부장이 40억 7202만원으로 최고였고, 주식투자 이익이 많았던 이용훈 대법원장이 38억 532만원으로 2위에 올랐다. 그 뒤를 지난해 사법부 재산증가 1위였던 김종백 서울고법부장이 34억 9523만원으로 3위를 차지했다.
대법관 가운데는 지난해 부의금을 받지 않은 시어머니 장례 등으로 유일하게 재산이 줄었던 김영란 대법관이 배우자 수입과 봉급저축 등 4억 32만원이 늘어 가장 많은 증가액을 보였다. 양승태 대법관도 배우자에게 증여한 대지의 기준시가 차액 등으로 2억 7374만원이 늘었다.
헌법재판소에서는 윤영철 소장이 재산총액 29억 7735만원과 증가액 5억 9986만원으로 총액과 증가액 모두에서 1위를 기록했다.
윤 소장은 신고 당시 기준시가 4억 8000만원이던 서울 송파구 문정동 아파트를 10억 9000만원에 팔아 6억 1000만원이 늘었다.
송인준 재판관도 김포의 토지수용 보상금 등으로 2억 3000여만원이 늘어 부동산 투자이익을 얻었다. 전효숙 재판관은 지난해 7월 삼성전자·삼성증권 주식 등을 팔아 1억 9009만원이 늘었다.
반면 지난해 취임한 이공현·조대현 재판관은 자녀학비, 자녀 결혼비, 가족 입원 및 장례비 등으로 8200여만원이 감소했다고 신고했다.
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
2006-03-01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