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오전 11시 서울 용산구민회관. 서울시의 ‘노숙인 일자리 갖기 프로젝트’ 2차 교육에 참가한 노숙인들은 지난달 6일부터 공사현장에 1차로 투입된 동료 노숙인들의 말을 빌려 이같이 우려했다.
이날 500명의 노숙인을 대상으로 이명박 서울시장의 특강이 끝나자 한 노숙인이 자리에서 일어나 “노숙인들이 건설 현장에서 냉대를 받고 있다.”며 해결책을 요구했다. 비슷한 건의가 여러 곳에서 쏟아져 한때 장내가 술렁이기도 했다.
이에 대해 이 시장은 “다양한 사람들이 건설현장에 근무하다 보면 처음에는 그런 일이 생길 수 있지만 며칠이 지나면 함께 잘 어울린다.”면서 “현장에서 누가 뭐라 해도 굳은 의지를 가지고 참고, 듣기 싫은 소리를 약으로 삼아 빨리 노숙인의 신분을 벗어나야 한다.”고 충고했다.
교육에 참가한 노숙인 김모(45)씨도 “쉼터에서 함께 생활하는 동료들이 일터에서 돌아와 작업장에서 인간적인 모멸감과 홀대를 겪었던 일들을 자주 이야기한다.”면서 “솔직히 일보다는 앞으로 겪어야 할 곱지 않은 시선이 더 두렵다.”고 털어놨다.
시 관계자는 “건설현장에 이들을 ‘센터인’ 또는 ‘쉼터 근로자’ 등으로 불러줄 것을 요구하지만 잘 지켜지지 않고 있다.”면서 “비숙련공인 노숙인들을 건설 현장에 투입하다 보니 주변 교통정리나 자재관리 등 쉬운 작업을 맡겨 일부 근로자들 눈에는 놀고 있는 것으로 비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그는 “이는 일부 현장에서 나타나는 현상일 뿐 대부분 공사현장에서는 별다른 문제가 없다.”고 덧붙였다.
한편 서울시에 따르면 노숙인들이 건설현장에서 견디기 힘들 것이라는 당초 우려와는 달리 1차 사업에는 투입된 노숙인 600명 중 하루 평균 493명이 참여해 82.2%의 참여율을 보였다. 시는 다른 직장에 취업하거나 질병 등의 이유로 불참한 90여명을 다른 노숙인으로 대체할 방침이다.
조현석기자 hyun68@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