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오후 서울 행당동 한양대 한양종합기술연구원. 대규모 취업박람회로 캠퍼스 안팎은 어수선했지만 200여명의 이공계 학부생과 대학원생이 모인 대회의실은 긴장감마저 감돈다. 학생들은 파워포인트 화면을 주시하며 꼼꼼히 메모하느라 여념이 없다.
국정원에 쏠린 눈 24일 한양대에서 열린 ‘대학연구기밀 보호 강화’세미나에서 국정원 산업기밀보호센터 관계자가 학생들에게 산업 기밀 관리 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 |
이날의 주제는 연구 기밀 보호.‘검은 선글라스’를 벗고 민간에 다가서고자 노력하는 국가정보원의 ‘대학연구기밀 보호 세미나’다. 이공계 학생들에게 기술 보안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주고 산업 보안의 중요성과 폐해를 알리기 위한 자리. 국정원 산업기밀보호센터에서 강연회를 마련했다.
국정원의 산업 보안 특강은 지난해까지만 하더라도 삼성전자 등 기업체를 중심으로 이뤄졌다. 올해부터 전남대 등 16개 대학에서 진행됐지만 공대 교수 등 한정된 연구진만 대상으로 했다. 대학원과 학부 학생들에게도 문호를 개방한 것은 이날이 처음이다.
국정원이 2003년부터 지난 8월까지 적발한 해외 기술유출 사건은 79건. 업계 추산으로 90조 6000억원어치의 국부 유출을 막았다. 국정원은 이날 세미나에서 ▲공개·비공개 정보 분류·관리 ▲핵심연구원 대상으로 보안서약서 작성 ▲연구노트 및 기밀 관리 등으로 어느 정도의 기술 보안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국정원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연구개발(R&D) 예산의 상당 부분을 대학이 쓰고 있고, 실용화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의 비중도 높아지고 있는 상태”라면서 “그럼에도 연구 윤리나 기술 보안 의식에 대한 교육이 대학에서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어 강연회를 마련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물론 또 하나의 목적은 과거의 이미지를 벗고 ‘부드럽고 친숙한 국정원’의 이미지를 학생들에게 심어주겠다는 것이다.
학생들의 반응도 좋은 편이다. 자동차공학과 박사과정의 이태훈(29)씨는 “그동안 기술 보안 교육 자체가 없다 보니 무엇이 중요하고 중요치 않은지에 의식조차 부족했다.”면서 “국정원이 한 학기에 한 시간씩이라도 학생들에게 보안 강의를 제공하는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양대 이해원 학술연구처장은 “외국에서는 교환 교수로 가더라도 정보 접근이 상당히 제한되지만 우리는 그런 시스템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면서 “학계나 기업으로 진출하게 될 학생들이 보안의식을 갖춰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역량을 키우는 데 국정원의 세미나가 큰 도움이 됐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06-10-25 0:0:0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