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지하철건설본부 설계안전부 안전팀 송재성(51·토목 6급)씨가 최근 ‘원격점검 내시경’과 ‘달아내리기 내시경’ ‘밀어넣기 내시경’ 등 3종류의 안전장비를 만들었다.
동료 사이에 ‘발명가’로 불리는 송씨는 지난 2004년 4월 안전점검팀에 발령을 받은 뒤 안전검검의 위험성과 부정확성에 대해 고민해 오다 최근 사비 450만원을 들여 이들 장비를 만들었다.
송씨는 설계도를 그린 뒤 퇴근길에 청계천 상가에 들러 부품을 구매하고 서대문구 홍은동 자택에 작업장을 설치,60여일간 장비개발에 몰두한 끝에 개발에 성공했다. 수차례 시행착오를 겪었지만 동료들과 전문가들의 조언을 받아 개발에 성공할 수 있었다.
집에는 공작기계와 500여가지의 공구를 구입해 갖췄다.
송씨가 개발한 원격점검 내시경은 길이 5.5m의 3단 붐대로 끝에 상하·좌우 360도를 회전하는 고성능 카메라를 설치한 것으로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 점검해야 했던 높은 시설물의 상태 점검이 가능해졌다.
달아내리기 내시경은 고성능 카메라에 줄을 달아 깊고 협소한 장소나 유해가스로 사람이 들어갈 수 없는 곳의 하수도나 수직갱 등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밀어넣기 내시경은 케이블에 초소형 카메라를 달아 만든 것으로 맨홀, 배수관로 등 직경 10㎝ 이상 공간이나 구불구불한 하수관의 내부구조물을 촬영해 영상을 전송한다.
송씨는 지난 1999년에도 한강 교량의 교각을 점검할 수 있는 수중 점검카메라를 개발하기도 했다.
서울시는 이 장비가 지하철 공사현장은 물론 교량, 터널, 도로변 배수연결관 등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보고 공무원제안 과학기술분야 심사를 의뢰했다. 또한 이 장비가 필요한 공사현장에 제작원가 수준의 최소비용으로 만들어 제공할 계획이다.
조현석기자 hyun68@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