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광화문 씨티은행 앞 박충흠 작품 ‘무제’(1986)는 다양한 얼굴을 품고 있다. 작가조차 그 형상이 무엇인지는 관람객이 판단할 몫이라고 했다. 제목을 무제라고 한 것도 관람객의 상상력을 방해하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란다. 제목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상상하기를 희망한다. 작가는 산봉우리든, 섬이든, 젖가슴이든, 엉덩이든 “다만 편안히 놓여 있으면 그만”이라고 말했다.
1982년 프랑스 유학에서 돌아온 작가는 설명이 필요없는, 자연스러운 작품을 만들고 싶어졌다. 주제나 색깔을 가능한 한 절제하고 관람객이 편안히 즐길 수 있는 조각품을 고민했다. 그는 우선 조각품의 받침대를 없애고 작품을 바닥에 깔았다. 틀에 박힌 형식을 벗어 던진 것이다. 그리고 익숙한 동그란 모양을 화강암으로 조각했다. 한개, 두개, 세개…. 새로운 관계를 맺어가듯 원형이 수줍게 볼을 맞대었다. 부드러운 조각품은 건물 밖에서 안까지 촘촘히 이어졌다.
특히 작품 윗부분을 반질반질하게 매만졌다. 덕분에 세월이 산봉우리를 깎은 듯 푸근해지고 비행기에서 내려다 본 육지와 닮아갔다. 반면 아랫부분의 울퉁불퉁한 촉감은 고스란히 살렸다. 시간의 역사가 사라지지 않는 탓이다.
미술품이 관람객 눈높이를 맞추자 자연스레 생활 속으로 스며들었다. 주위를 뛰놀던 아이들은 말 타듯 작품에 올라가고 미끄럼도 탔다. 다정한 연인은 작품에 마주 앉아 사랑을 속삭였다. 일상에 지친 직장인도 잠시 걸터 앉아 숨을 돌렸다. 작가의 바람대로 작품은 편안한 휴식공간이 되었다.
그러나 친밀감이 지나쳤을까.23일 작품 옆에는 담배꽁초와 음료수병이 가득한 쓰레기통 두개가 놓여 있었다. 작가는 “관람객이 작품을 맘껏 만지며 즐기길 바라지만, 작품 원형이 훼손되지 않도록 세심하게 관리했으면 좋겠다.”고 서운함을 드러냈다.
정은주기자 ejung@seoul.co.kr
2007-1-24 0:0: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