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시흥시에 따르면 무능 공무원을 솎아내고 퇴출하는 대신 이들을 대상으로 ‘개인 맞춤형 행정클리닉제도’를 운영한다.
시 관계자는 “조만간 체험행정팀을 꾸려 업무능력이 부족한 직원에게 일종의 ‘치료’와 ‘재활훈련’을 실시할 계획”이라면서 “개인별로 부족한 점을 찾아 그에 적합한 진단과 처방을 내리기 때문에 ‘맞춤형’이라고 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시흥시가 이런 제도를 채택한 것은 일정 비율의 무능 공무원을 조직에서 밀어내는 식의 구조조정이 공무원들의 사기를 크게 떨어뜨린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업무에 소극적이거나 불성실한 공무원에게 스스로 반성할 시간과 업무능력을 회복하는 자신감을 주어 공직사회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서비스 품질도 높이자는 취지다.
앞서 지난 24일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서울시와 유사한 방법의 퇴출 정책은 펴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 지사는 “공무원 각자가 맡고 있는 일을 제대로 하는지는 도민의 입장에서 평가하고 보상해야 한다.”면서 “우선 산하단체부터 강도 높은 성과평가제도를 도입하고, 단체장과 협약을 맺어 그 협약에 따라 평가해 퇴출하든지 차등적인 보수체계를 도입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시흥 김병철기자 kbchu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