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걸(서울시 디자인서울총괄본부장) 서울대 교수는 이를 두고 “단순히 ‘이유없는 제작’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보는 이에게 자유로운 사고를 주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서울 여의도 교보증권빌딩 앞에 놓인 ‘정’(화강암)은 그런 비움의 바탕에서 바라볼 때 작가의 의도를 짐작할 수 있다. 한 덩어리의 돌덩이가 두 사람의 모습을 연상시키는 두 개의 조형물이다.
거리감과 끌림, 헤어짐과 만남의 느낌으로 다가온다. 건물 왼쪽(사진 위)에 있는 작품은 머뭇거리는 두 사람, 오른쪽(아래) 작품은 그 두 사람이 다정하게 부둥켜안은 모습이랄까.
우리나라 구상조각의 1세대로 불리는 김찬식(1926∼1997) 전 홍익대 미대 교수는 차가운 대리석, 화강암 등의 재료에 사랑, 정과 같은 따뜻함과 생명력을 불어넣은 작품 활동을 해왔다. 평양국립미술대학 2학년 때인 1950년에 6·25전쟁을 맞아 남쪽으로 내려온 뒤 홍익대 미대 조각과를 졸업했다. 국내외에서 여러 차례 개인전을 가졌고, 브라질 상파울루 비엔날레, 인도 뉴델리 트리엔날레 등 주요 국제그룹전에도 참여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벌여왔다.
한 덩어리에서 두 개로 갈라진 형태를 기본으로, 이를 떨어뜨려 놓거나 붙이면서 사랑, 이별, 만남, 정 등 인간의 정서를 표현하는 특징을 담았다.
순수작품 이외에도 ‘마산 3·15 의거탑’,‘공군 보라매탑‘,‘논산 육군 용사상’ 등 기념 조각작품도 다양하게 만들었다.
1994년에 작가가 설립한 경기도 벽제 목암미술관에는 1950년대부터 작고할 때까지 작품들이 연대기별로 전시돼 있다. 실내외 전시장 1만 4800여㎡에 조각, 회화, 금속·염직공예, 도자기 등 생전에 작가가 수집한 작품 500여점도 전시돼 있다. 아들인 조각가 김성래(42)씨가 대표를 맡고 있다.
최여경기자 kid@seoul.co.kr
2007-8-15 0:0:0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